[한라일보] 제주목 관아는 조선시대 제주목에 파견된 지방관인 목사가 업무를 보던 관청건물로 청렴과 애민정신을 대표하는 제주의 상징이다. 조선초기 문신이었던 청백리 '이약동'이 제주목사의 임기를 마치고 말을 타고 돌아…
갱년기에는 난소에서 더 이상 배란이 이뤄지지 않아 여성의 하루 에너지 소모량은 약 200㎉ 정도가 감소한다. 따라서 폐경후 전과 동일한 생활을 하게되면 단순 계산상 매일 200㎉의 잉여 영양소가 축적된다. 밥 한공기의 양이 약…
의용소방대는 생업에 종사하다 화재나 특별한 소방업무가 발생할 때 소방대원들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옆집에 불이 나게 된다면 도와야 한다는 신념을 갖고 있었지만 의용소방대 대원이 되고 보니 의욕이나 신념만으로는 …
2015년 4월 30일 '영유아보육법'이 개정되며 모든 어린이집에 CCTV 설치가 의무화됐다. CCTV 설치 의무는 인천 송도어린이집에서 발생한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동영상이 언론을 통해 보도되면서 비롯됐다. 부모들의 불안감과 어린이…
[한라일보] 제주-중국 직항 하늘길이 3년 만에 다시 열린다. 침체된 제주 사회에 유커들로 인한 경제 활성화에 거는 기대가 사뭇 뉴스거리다. 또한 제2공항 추진 여부에 대한 찬반의 논쟁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지역사회의 고민…
[한라일보] 봄빛이 완연한데 나라 꼴은 엉망이다. 지난달에는 검사 아들의 학교폭력 이야기로 떠들썩했다. 때맞춰 상영한 드라마 '더 글로리'는 사그라지던 분노의 잔불을 깨웠다. 학폭의 속성은 학교의 담장을 넘나드는 사회현…
[한라일보] "태어나 2년간은 장애가 있어도 판단이 쉽지 않습니다. 대부분 이 과정을 거치며 장애 조기 발견, 조기 개입 시기를 놓치게 됩니다." 지난 14일 제주도의회 보건복지안전위원회가 개최한 정책토론회에서 마이크를 잡…
[한라일보] 정부의 '강제징용 제3자 변제' 논란이 뜨겁다. 2018년 대법원은 미쓰비시 중공업 등 강제노역 피해자에 배상 판결을 확정했다. 그런데 정부는 일본 전범기업의 사과와 배상 대신 국내기업의 기부를 통한 피해자지원재…
'찔레꽃 붉게 피는 남쪽 나라 내 고향 언덕 위에 초가삼간 그립습니다. 자주 고름 입에 물고 눈물 젖어 이별가를 불러주던 못 잊을 사람아.' 이 추억의 노래는 제주 섬이 낳은 가수 백난아가 부른 노래다. 나는 서울에서 살다가 …
[한라일보] '카르텔(Kartell)'의 사전적 의미는 동일 업종의 기업들이 이윤의 증대를 노리고 자유 경쟁을 피하기 위한 협정을 맺는 것으로 형성되는 시장 독점의 연합 형태로 경제 용어다. 하지만 최근 대통령의 발언 "태양광 비리…
최근 호남 지역은 가뭄으로 물 이용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주요 댐의 저수율은 20% 안팎으로 제한급수까지 거론되는 실정이다. 환경부에서 추진한 유수율 제고 사업이 아니었다면 여러 지역에서 벌써 제한급수를 겪었을지도…
"책 읽을 시간이 없어서요"라고 핑계를 대지만 그럴 의지가 없을 뿐이다. 독서는 자기주도적 학습이다. 세계로 나가는 창구다. 내 삶의 미래를 보여준다. 하지만 현재는 컴퓨터 게임에 밀려 학생들의 변화를 이끌어 내는 데는 역…
[한라일보] 교통사고 환자들을 진료하다 보면 외상은 없는데 육체적 고통을 호소하는 환자들은 물론이고 정신적인 트라우마로 힘들어하는 환자들이 많다. 얼마 전에 모녀가 소형차를 타고 가는데 25t 트럭이 차선을 변경하면서 …
[한라일보] 인간의 눈과 귀는 두 개이고 입은 하나인 이유는 보고 듣는 일은 많이 할수록 좋고 말은 적게 할수록 좋기 때문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그런데 삶의 지혜가 아닌 기능의 측면에서 본다면 인간의 눈이 두 개인 이유는 …
[허선희의 현장시선] 청렴한 국민연금, 힘이 되…
[열린마당] 갱년기 뱃살과 늦게 배운 자전거타기
[열린마당] '생명의 길' 소방차량을 위해 길을 터…
[열린마당] 어린이집 영유아와 보육교직원의 안…
[오수정의 목요담론] 생활권인 항공에 대한 고민
[김양훈의 한라시론] 빨갱이라는 이름의 낙인
[허경자의 하루를 시작하며] 3월이 주는 의미
[열린마당] 제주가 낳은 '찔레꽃 가수' 백난아에 …
[현지홍의 문연路에서] 대통령 안의'카르텔'
[열린마당] 제주도민과 함께하는 유수율 제고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