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바다보호 더는 미룰수없다] (14)앞으로 수중 생태관광 발전을 기대한다

[제주 바다보호 더는 미룰수없다] (14)앞으로 수중 생태관광 발전을 기대한다
제주관광 이끄는 제주사랑… 수중관광 '팬덤'의 힘
  • 입력 : 2023. 11.13(월) 00:00
  • 김지은 기자 jieun@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바닷속 경관 감상하는 '수중관광'도 생태관광 변모
수중생태관광객 자연 보전·지역경제 발전에도 영향
정착 다이버 증가… 수중계 대표 정책적 요구 수렴을

[한라일보] "한번 사로잡히면 놓여나지 못하는 / 우리 고향 바다의 애증은 / 차라리 죽을 때까지 지니고 갈 / 불치병인지도 모릅니다." 제주 출신 시인 김순이의 시집 '제주 야행'에 실린 시 '바다 병(病)'의 일부이다. 지은이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시집에 가득 담았다. 제주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고향이 아니더라도 일종의 사랑 병에 걸린다. 제주는 살기 좋고 여행하기 좋은 곳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산다. 나쁜 소문이 돌아도 개의치 않는다. 일종의 '팬덤'이 형성돼 있는 것이다.

우리 가족의 제주 사랑도 병적이다. 모두 바다를 좋아하고 자맥질도 할 줄 안다. 다들 한 해에 서너 차례는 출입하고, 나는 매년 열 차례 정도는 오는 것 같다. 맹목적인 이 제주도 바라보기는 우리만이 아니라는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정책가들은 이들이 제주도를 바라보는 시각을 알아둘 필요도 있다. 자주 만나는 '실버 다이버' 모임 회원들은 적어도 35년 이상 제주도를 줄곧 방문했다. 이런 사람들끼리는 서로 잘 어울리고, 마치 제주 사람처럼 생각하곤 한다. 모임 내에서 자기 경험과 생각을 공유하고 제주도를 찾는다. 연내 재방문은 물론이고 보통 십여 차례의 방문도 마다하지 않는다. 관광지에 대한 충성도 아주 높다. 이들은 제주도 자연의 소실과 파괴를 가장 가슴 아파한다. 오랫동안 봐 왔기 때문에 이들의 기억을 유심히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수중관광객 중에 가장 열정적인 사람들이 수중사진작가들이다. 이들은 바다의 변화에 대해서도 민감하다. 이상훈 제공

관광에서 제주도에 대한 애정이 순수하고 깊은 집단 중에는 해양관광만을 놓고 보면 두 그룹이 있다. 우선 생태관광 그룹이다. 지난 30여 년 동안 제주의 젊은 환경운동가들이 생태관광을 실험적으로 추진했고,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정신적인 지주 역할을 해왔다. 그래서 생태관광 전국 모임을 'UN이 정한 생태관광의 해'인 2002년에 최초로 제주도에서 열 정도였다. 제주도에는 지금까지 세 곳의 생태관광지역(선흘리 동백동산 습지, 저지리의 저지오름과 곶자왈, 하례리 효돈천)이 있었으나, 올해 구좌읍 평대리가 신규 지정됐다. 다른 명칭도 있다. '돝오름에서 비자림과 해녀의 물길까지'다. 처음으로 생태관광에 제주 바다가 등장했다. 제주도에서 생태관광을 이끄는 그룹의 리더인 위 협회의 고제량 공동회장은 평대리 지정 이후 "역시 바다가 끼니 관광객들이 훨씬 즐거워하고, 관심도 커졌다. 앞으로 바다에 생태관광을 적용하고, 새로운 프로그램을 많이 만들어야겠다"고 했다.

생태관광에서는 자기 경비를 들여 자연보호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 이 사진은 일반 다이버들이 모임을 구성해 제주 물고기를 찾아 기록하는 장면이다. 제주 생태관광 '물고기 반' 제공

수중 생태관광의 섬 경제 기여도 살펴야

다른 하나는 '수중관광' 그룹이다. 스쿠버다이빙과 요즈음 한참 주가를 올리는 '프리다이빙(free diving)'처럼 물속을 자유롭게 드나드는 것과 수서생물을 보거나 경관을 보는 것을 즐기는 일종의 레저스포츠 그룹을 말한다. 수중에서 활동하면서 바다가 잘 보호되길 기대하며 비용을 지출하므로 이들도 생태관광의 일원으로 보아야 한다. 대부분 광적으로 자신의 스포츠에 집착한다. 그리고 국내에서는 제주가 최고의 적지로 생각한다. 특히 스쿠버다이버들은 서귀포 문섬 일대를 '성지'라고 할 만큼 중시한다. 일종의 '마음의 고향'이다. 그러니 이들에겐 누가 뭐래도 제주도가 관광의 중심지이다. 코로나19 이후가 걱정이라는 이들의 이야기를 듣고 필자는 올 초에 관련 글을 신문에 실었다. 내용 일부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제주수중레저협회'가 취합한 자료를 보면 2020년에는 약 19만6000명이, 2021년에는 12만6000명의 다이버가 제주도를 방문했다"고 하였다. 글에서는 항공료를 제외하고 한 사람당 2박3일 기준으로 약 54만원을 쓰는 것으로 다소 보수적으로 추정했다. 실제로 더 많이 지출하고, 더 많이 머문다는 주장이 있다. 다른 관광 분야와는 다르게 소비 금액 전체가 지역사회 사업자의 수입으로 잡힌다는 점이 중요하다고 지적했었다. 경제에 미치는 개인의 영향만으로 볼 때 관광 분야 중 최대가 아닌가?

그동안 수중계는 생태관광이라고 표현하지는 않았지만, 일찌감치 그쪽으로 전향했었다. 1990년대 어업종사자들과 마찰이 많아지면서 사진찍기와 수중생태계와 경관 감상으로 진로를 바꾸어 왔다. 생태관광은 자연에 영향을 미치는 대중관광의 대안으로 생긴 관광으로 대중관광과 가장 큰 차이는 방문하는 지역의 자연과 문화의 보전을 우선시하는 것이며, 지역 경제발전을 중시한다는 점이다. 즉, 수익에서 지역의 비중이 가장 높아야 한다고 믿는다.

서귀포 천지연 폭포 입구 상가에 있는 다이빙숍과 프리다이빙숍. 제종길

수중 생태관광 인프라 건설 신중해야

제종길 한국종합환경연구소 수석위원·제주바다포럼 고문

2021년 수중관광객들이 몰려올 때 코로나 이후를 고려해서 세밀한 정책을 수립할 때라며 제안하는 다이버들이 많았다. 이때부터 여러 차례 다이빙을 다니면서 서귀포항 주변에 건설되는 수중관광객을 위한 시설에 대해 자연스럽게 여론을 들었다. 건물에는 강당과 바다에 나가지 못하는 날,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공간인 박물관이 필요하고, 다이빙풀을 만든다면 수심 10m 정도의 프리다이빙 시설이 함께 지어지면 좋겠다는 주장이 많았다. 이용할 당사자인 수중계 대표들의 의견을 별도로 잘 들어볼 것도 권한다.

지난 11월 첫 주 주말의 서귀포항은 예전과는 다른 풍경이었다. 다이버를 실어 나르는 선박도 20여 척이 보였고, '제수 수중사진챔피언십'과 '프리다이빙 대회' 현수막도 있었다. 천지연 폭포 입구 상가에 다이빙숍도 늘었다. 사람마다 약간씩 다르지만 적어도 150개가 넘는 다이빙숍(프리다이빙숍 포함)이 있다고 하니 놀랄 일이다. 단위 섬에서 이렇게 많은 곳은 세계적으로도 드물 것이다. 늘어나는 것은 가게의 수만이 아니고, 제주도에 정착하는 다이버들의 수도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르긴 해도 이들도 '바다 병'에 걸려 있는 것이다.

제종길 한국종합환경연구소 수석위원·제주바다포럼 고문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1 개)
이         름 이   메   일
5733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조은진 2023.11.18 (11:52:22)삭제
글을 읽고 일어 치여 답글을 오늘에야 답니다 제종길 박사님의 제안을 환영합니다 박사님의 혜안과 깊은 통창력으로 제주수중관광산업에 도움을 주시기를 머리숙여 부탁드립니다 제주의 수중관광산업에는 오래도신 선배님은 많이계시지만 길을 가리켜 주는 어른이ㅡ없는것 같아 맘이 아플다름입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