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이 공정 임금제 이행과 교육감의 직접 교섭, 비정규직 철폐 등을 요구하며 오는 17~18일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재차 예고했다. 전국적인 파업 움직임에 도내 학교비정규직 노동자 1000여명(제주 학교비정규직 연대회의 추산)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일선 학교 급식과 돌봄교실 운영 등에 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민주노총 제주본부와 제주 학교비정규직 연대회의(이하 연대회의)는 10일 제주도교육청 앞에서 총파업 선포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당국은 7월 총파업 이후 재개된 2019년 임금 집단교섭에서 비정규직 차별해소를 위한 성의 있는 어떤 협상안도 제시하지 않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앞서 연대회의는 지난 8일 성명서를 내고 교육당국과의 교섭이 결렬될 경우 전국적인 총파업 투쟁에 나서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연대회의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신속한 교섭타결을 위해 차별해소에 꼭 필요한 각종 수당 개선 요구안과 기본급 인상률까지 양보했지만 교육당국은 아무런 입장변화 없이 고집불통"이라며 "정부의 공정임금제와 차별해소 약속은 사라졌고, 7월 총파업 당시에 약속한 성실교섭도 사라졌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연대회의는 "공무원 최하위 직급의 60~70% 수준에 불과한 학교비정규직 임금을 적어도 3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80% 수준으로 올려야 한다"며 "매년 반복되는 갈등의 원인인 학교비정규직 임금격차와 지역별 차이를 더 이상 방치하지 말고 '공정임금 실현을 위한 협의'로 모아가는 것이 결국 노사 모두에 이익"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교육감들이 책임지고 직접교섭에 참여해 공정임금제 실시 약속을 지켜야 한다"며 "우리의 절박하고 상식적인 요구를 외면한다면 오는 17일부터 전국에서 더 많은 노동자들이 참여하는 강력한 2차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