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서귀포시 문화예술 여건 개선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이어지고 있지만 사업의 연속성을 잃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 시스템 구축 없이 일시적 예산 의존에서 비롯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는 얘기다. 지역 특성을 반영한 효율적인 문화예술 정책 수립을 위한 컨트롤타워를 설치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문화도시 서귀포시'에 걸맞지 않은 현실이다.
그제 발표된 '서귀포시 문화예술 환경분석을 통한 정책 효율성 제고 방안'이라는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서귀포시의 총예산 대비 문화예술 예산은 제주시에 비해 오히려 비중이 높고, 1인당 문화예술 예산은 7만 6100원으로, 제주시(3만 2500원)의 2.3배 수준이다. 각종 인프라 측면에서도 강점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문화예술 자원을 프로그램화하고 공급에 있어 수급 불균형과 낮은 정보 접근성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비효율적 예산운용이라고 함축할 수 있다. 향후 예상되는 사안에 대해서도 대응력이 떨어질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엔 서귀포시의 문화예술 여건 개선을 위한 분석과 진단을 통해 대안이 제시됐다. 거점 역할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요약됐다. 가칭 '서귀포문화예술센터' 설치가 제안됐다. 현실적인 문제를 감안해 제주문화예술재단 내 별도 부서의 형태로 설치하는 것을 제안했다. 연구 보고서에 의하면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전국 유일 3년 연속 최우수 문화도시이자, '2023년 올해의 문화도시' 서귀포시라는 게 무색해졌다. 겉만 번지르르했다고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 문화도시라는 명성에 맞도록 내실을 기해야 할 때이다.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