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은 집값과 가계대출 증가 등으로 인해 직장인들은 매월 소득의 4분의 1 이상을 주거비로 지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잡코리아(www.jobkorea.co.kr)는 알바몬과 함께 본인 또는 배우자 명의로 주택을 계약(매매/전세/월세)한 남녀직장인 1433명을 대상으로 ‘하우스·렌트 푸어 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하우스푸어는 집이 있지만 무리한 대출과 세금 부담으로 실질적 소득이 줄어든 사람들을 일컫는다.
렌트푸어는 하우스푸어의 전세판. 급증하는 전세값을 감당하기 위해 소득의 대부분을 지출하느라 금전적 여유가 없는 사람들을 말한다.
우선, 이번 설문에 참여한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현재 주거형태에 대해 질문한 결과 ▷자가(49.5%) ▷전세(26.0%) ▷월세(24.5%) 순으로 조사됐다.
연령대별 자가 보유 현황을 보면 ▷40대(55.5%) ▷30대(46.4%) ▷20대(40.8%) 등의 순이었으며, 20대직장인의 경우는 월세 비중이 42.1%로 가장 높았다.
결혼유무 별로는 ▷맞벌이 기혼(61.0%) ▷외벌이 기혼(54.0%) ▷미혼(41.1%) 순으로 자가 보유 현황이 높았다. 현재 거주하고 있는 지역 별로는 △광주/전라도 거주 직장인들이 61.4%로 자가 보유 현황이 가장 높았으며, 서울 거주 직장인들은 40.3%로 가장 낮았다. 특히 서울 거주 직장인들은 타 지역에 비해 전세 비중이 32.0%로 가장 높았다.
또 직장인 10명 중 8명(81.6%)은 스스로를 ‘하우스.렌트 푸어’라 답했다. 주거 보유 형태별로 보면 자가 보유 직장인들의 경우 76.1%가 본인 스스로를 ‘하우스 푸어’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전세 거주 직장인들은 85.2%가 ‘렌트 푸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와 함께 직장인들은 매 월 소득의 25.2%를 ‘주거비’로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자가 보유 직장인들의 경우는 월 소득의 23.9%를, 월세 거주 직장인들은 27.0% 정도를 대출상환금이나 월세비용으로 지출하고 있었다.
특히 현재 자가 보유 직장인들의 70.7%는 내 집 마련을 위해 대출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맞벌이 기혼직장인 중에는 88.9%가 대출을 받았다고 답해 가장 높았으며, 외벌이 기혼직장인, 81.0%, 미혼직장인 중에는 49.1%가 주택자금 대출을 받았다고 답했다.
대출은 제1금융권(85.5%)에서 받았다는 직장인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8.2%)과 부모님 및 친지 등 지인(5.6%)에게 빌렸다는 응답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번 설문에 참여한 자가 보유 직장인들의 주택자금 대출 금액은 평균 1억 626만원 정도로 집계됐다. 기혼 맞벌이직장인들이 평균 1억 2622만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기혼 외벌이직장인, 1억 770만원, 미혼직장인 7625만원 순이었다.
거주 지역 별로도 차이가 있었다. 인천/경기도 거주 직장인들의 주택 마련 대출금이 평균 1억 1423만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서울 거주 직장인들도 1억 923만원으로 타 지방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부산/대구/울산/경상도(9538만원) ▷대전/충청도(8507만원) ▷강원/제주도(7258만원) ▷광주/전라도(7142만원) 순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