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한라일보 신춘문예 시 심사평]열차 순환선에 숨 멎은 도시인의 삶

[2020한라일보 신춘문예 시 심사평]열차 순환선에 숨 멎은 도시인의 삶
  • 입력 : 2020. 01.01(수) 00:00
  • 진선희기자 sunny@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본선에 올라온 작품들은 합당한 길이에 반해 너무 긴 것들이 많았다. 표현하려는 내용에 걸맞은 길이가 아니라 신춘문예를 의식해서인지 길게 잡아 늘려 집중력과 긴장감이 떨어지곤 했다. 이는 오래 하는 지루한 얘기나 수다처럼 읽는 이를 힘들게 한다. 시는 꼭 짧거나 길어야 하는 게 아니라, 몸에 맞는 옷처럼 생각과 말이 하나의 틀 속에 잘 어우러져야 한다.

최종심에 오른 '섶섬이 보이는 풍경'(김영욱)은 상당 부분 사물을 의인화함으로써 대상을 생생하게 살아나게 하고는 있으나, 길게 이어지는 묘사가 어떤 울림으로 연결되지 못해 아쉬웠다. 또 이런 묘사 방법은 이즈음 많이 차용되는 것이어서 새로움이 덜했다.

'로제트 식물'(노수옥)은 무리 없는 상상력의 전개와 시를 이끌어나가는 여유로움이 믿음을 주게 하나, 대상과 화자의 균형이 깨어져 이질감을 보였다. 같은 이의 '시침, 뚝'은 절제된 시각으로 매력 있는 언어 구사를 하고 있는 반면 시인의 의도가 잘 다가오지 않았다.

'나는 노래를 잘 해요'(김미경)는 4·3의 아픈 가족사를 긴 서사의 담화체로 생기 있게 노래하고 있지만 노래가 너무 길다. 그 노래를 다 들으려면 힘이 빠질 것 같다. 1~6번까지 붙인 것을 2개 정도로 줄이고 좀 더 다듬었다면 당선작과 겨뤘을 것이다. 노안이 시작되는 나이의 슬픔을 여러 상상의 빛깔로 수놓은 '돌, 어슴프레한'도 일정한 수준에 근접해 있다.

이도훈의 시들은 말하고자 하는 것들이 외피 안에 잘 녹아 있음을 보여준다. 옷 입은 이와 그의 옷이 썩 어울리는 것이다. 선자들이 당선작으로 합의한 '순환선'에서는 숨 멎은 한 도시인의 삶이 열차의 순환선에 비유되고, 그것은 마침내 읽는 이로 하여금 일상의 반복적 삶을 각성하게 하는 계기로 작용한다. 적절한 언어를 배치하는 역량이 그의 다른 시들에 고루 나타나 있는 점도 그를 당선자로 정한 이유들 중의 하나였다.

힘들지만 행복한 시의 길에 들어서려는 분들에게 축하와 위로의 악수를 건넨다. 머지않아 시의 순환선에서 함께 만날 수 있기를!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185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