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칼럼]케이블카는 비양도에서 한라산으로 이어진다

[한라칼럼]케이블카는 비양도에서 한라산으로 이어진다
  • 입력 : 2010. 03.22(월) 00:00
  • 글자크기
  • 글자크기
비양도 케이블카 사업이 가시화되고 있다. 이미 환경영향평가 심의를 통과했고, 이번 주에 예정된 도의회 동의를 거치면 사업은 승인될 것으로 보인다. 드디어 제주도에도 관광 케이블카가 등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비양도에 케이블카가 설치되면 제주도 곳곳에서 케이블카 유치를 위해 민원이 뒤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에는 한라산에도 케이블카를 설치하는 것으로 결말이 날 것이다.

도지사는 이런 시나리오를 완성시키기 위하여 지난 40년간 논란이 돼왔던 한라산 케이블카를 다시 수면위로 등장시킨 것이다. 지난달 말 한라산케이블카 테스크포스팀은 이 사업에 대하여 부정적 의견을 내 놓은 바 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도지사는 아무런 결정을 내리지 않고 있다. 결국 한라산 케이블카는 비양도 케이블카 사업을 승인한 후에 다시 논의하려는 속셈인 것이다.

작년 여름 비양도에서는 비양봉 오름의 산책로 설치 공사가 한창이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비양봉 정상으로 향하는 기존의 산책로 입구를 다른 곳으로 변동시켜 설치하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의아했던 의문은 금방 풀렸다. 다른 곳으로 옮겨진 산책로 입구는 바로 케이블카 종착역으로 예정된 지점이었다. 케이블카 사업의 승인 여부가 결정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이미 행정당국에서는 도민의 혈세인 세금으로 사업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는 것이다. 사업 승인이 도지사의 고유권한이기는 하지만 사업 승인여부가 불투명한 상태에서 이런 식의 앞서 나가는 행정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 것인가. 개발을 위해서라면 절대보전지구와 절대보전연안도 쉽게 풀어주는 불법적 행위를 스스로 자행하는 제주도 행정을 우리가 더 이상 어떻게 신뢰할 것인가.

2007년 제주도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전 인류를 위하여 보존 가치가 있는 제주의 세계자연유산은 바로 '화산'이라는 자원이다. 유네스코의 세계유산 사업은 세계적으로 가치가 있는 자원을 보존하기 위한 국제적인 협약이다.

비양도는 탄생 천년의 전설이 전해 내려오는 살아있는 화산의 섬이다. 세계적인 유산인 비양도의 화산 자원을 보호하기 위하여 꼭 케이블카가 필요한 것인가. 세계유산을 보호하는 것과 관광 활성화를 위하여 케이블카를 설치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상반되는 개념이다.

한라산을 세계자연유산으로 등록시켜 놓고 그 곳에 케이블카를 건설하려는 것도 유네스코 세계유산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발생한 일이다. 하기야 예전에는 도지사가 나서서 한라산을 보호하기 위한 방편으로 케이블카가 필요하다고 강변하지 않았던가.

요즘 도지사 선거로 한창 시끌시끌하다. 어떤 도지사를 뽑아야 할 것인가. 환경에 대하여 무지하고, 환경이 돈이 되는 것을 모르는 도지사는 더 이상 필요없다. 적어도 철저히 보존해야할 비양도와 한라산에 케이블카를 놓아 세계적인 자원을 파괴하면서까지 사업자의 손을 들어주는 도지사를 선택해서는 안된다.

현재 도지사는 비양도와 한라산 케이블카 사업을 얼마남지 않은 임기내에 접어야 한다. 비양도에서 한라산으로 이어질 케이블카 사업은 지울 수 없는 누로 남을 것이다. 이 시점에서 우리가 비양도 케이블카를 주시하는 이유는, 오늘 내린 결정이 내일이 되면 다시는 돌이킬 수 없는 역사가 되기 때문이다.

<강순석 제주지질연구소장>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5 개)
이         름 이   메   일
8196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조랭이노물 2010.03.22 (16:38:09)삭제
비양도에 해상 케이블카 생기면 비양도에는 많은 관광객이 오겠지요. 그런데 막상 비양도에 도착한 관광객이 선뜻 지갑을 열까요? 해녀들이 파는 간이 해산물은 제주 전역에서 넘쳐나서 똑똑해진 관광객을 자리에 앉히기도 어렵겠지요. 비양도 케이블카 생겨도 정작 비양도에서 소비되는 돈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고요, 가장 큰 문제는 협제와 금릉 해수욕장인 것 같네요. 지금 협제 해수욕장이 인기 끄는 이유로는 얕은 수심과 무엇보다도 지척에 비양도가 보이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케이블카가 생기면 비양도의 모습이 별로 좋아 보이지는 않겠죠. 비양도 케이블카 생기면 기업은 많은 돈 벌겠지만 정반대로 한숨을 쉬는 주민들도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해 보아야지요.
조랭이노물 2010.03.22 (16:33:13)삭제
댓글이 흥미로워 소견 달아 봅니다. 밑에 산남사람님 말씀나마 알프스 중턱까지 케이블카로 이동하지 않고서는 몽블랑까지 올라갈 수 없지요. 한라산도 마찬가지요. 관광객이라면 당연히 케이블카를 타고 백록담까지 가야만 한다고 생각하겠지요. 그러나 한라산 백록담 훼손이 심해 영실과 어리목코스로는 백록담으로 갈 수 없지요. 그러니까 누가 돈 아깝게 백록담까지 가지도 못할 케이블카를 타겠냐는 것이죠. 제주도 최고의 전문가들이 모인 케이블카TF팀에서도 경제성 타당성 장담하지 못하겠다고 한 것은 이런 전후사정이 반영된 것이지요.
산남사람 2010.03.22 (15:42:13)삭제
케이블카로 인하여 남산의 모습이 바꼈는가? 비양도에 케이블카 생겨도 고목나무에 매미모양으로 케이블카가 비양도의 모습을 바꾸지 않는다. 제주도에도 체험하는 즐거움을 줄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경제적인 가치를 생각하면 비양도 케이블카 반드시 필요하다. 제주에 갔다오면 뭔가 기억에 남는 것이 필요하다. 몽블랑의 케이블카를 생각해봐라, 밑에서 하늘만 보다면 누가 몽블랑에 가겠는가? 케이브카를 타고 중턱까지 가니까 몽블랑에 가는것지 환경론자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른다.
로프웨이 2010.03.22 (12:41:32)삭제
케이블카는 환경파괴적인 시설물이다라는 전제하에 사물을 바라다 보니 삐딱한 결론만 나오는거다 원래 케이블카는 환경을 보호하자는 취지에서 만들어진 시설물입니다 시간이 부족한 자, 몸이 불편한 자, 몸이 아픈 사람들이야말로 케이블카를 이용해서 한라산도 올라보고 아름다운 경관도 볼 수 있어야 하는 것 아니꽈 알고보면 환경친화, 서민보호, 약자보호를 위한 시설인데... 왜 반대만 하는겨 반대하면 아는 것 같고 깬 사람 같고 개념있는 것 같고 그래서 그런겨 그래서 그런겨 정말로.......ㅋㅋㅋ
제주시민 2010.03.22 (11:02:28)삭제
전문성과 도덕성을 겸비한 강 박사님이 환경영향평가심의위원으로 활동해주어야 제주도가 발전하는데 현실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