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상의 유사성만으로 중의 밥그릇같이 생겼다고 해석 [한라일보] 제주시 애월읍 어음리 산1번지다. 표고 763.4m, 자체 높이 213m, 둘레 4694m, 저경 1643m이다. 오름의 평균 자체 높이가 81m이니 대략 그 3배에 달하는 매우 높은 오름이…
왕이메와 족은대비악은큰 물오름과 작은 물오름으로 대비지명 [한라일보] 안덕면 광평리 산79번지다. 표고 612.4m, 자체 높이 92m이다. 기저 직경은 1174m인데, 이것은 오름의 평균 591m의 배나 되는 것이다. 둘레는 무려 3665m에 달한…
'메'는 '뫼'가 변한 말?샘을 뜻하는 고구려어 기원 [한라일보] 노꼬메오름이라는 이름은 무슨 뜻일까? 이 오름은 제주시 애월읍 유수암리와 소길리에 걸쳐 있다. 표고 833.8m, 자체 높이 234m이다. 가까이에 노꼬메족은오름이 있다…
축막(軸幕), 뉴악으로 표기왜 어려운 한자를 동원해야 했나? 웃바메기오름의 위치는 조천읍 선흘리 산84번지다. 표고 416.8m, 자체높이는 137m이다. 마을에서는 보통 바메기(웃바매기, 알바매기)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있는데, 이는 …
가메오름은 바른 가마, 가마오름은 엎어진 가마? [한라일보] 가메오름은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에 있다. 해발고 372.2m, 자체 높이가 17m에 불과하다. 이 오름의 지형적 특징은 작지만 아주 뚜렷한 분화구가 있다는 점일 것이다. 직…
제주어는 제주도에서 발생한고유어라는 주장은 허구 [한라일보] '돌리미' 오름 지명에서 '돌'은 물을 의미한다. 이런 예는 토산의 지명에서도 봤고, 안돌오름, 밧돌오름, 감낭오름, 원물오름, 도두오름, 다래오름, 원당봉, 영천…
삼의양오름에 끼어든 ‘양’, 그 기원은 무엇? [한라일보] 제주시 아라동에 세미오름이 있다. 표고 574.3m, 자체 높이 139m다. 5·16 도로를 두고 제주국제대학교와 마주하고 있다. 산정 분화구 남쪽 사면으로 작은 골짜기를 볼 수 …
노루가 많이 살지도 닮지도 않아 [한라일보] 노로오름이라는 이름을 가진 오름이 있다. 제주시 애월읍 유수암리 산139번지이다. 족은노로오름도 있다. 애월읍 고성리 145번지에 해당한다. 이 두 오름은 주소는 다르지만 바싹 붙…
다양한 이름의 정물오름, 그 본디 뜻은? [한라일보] 정물오름은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에 있다. 표고 466.1m에 자체 높이 151m 정도다. 돌담으로 정비한 샘이 우선 눈에 들어온다. 분화구 안 낮은 곳 해발 349m 정물샘이다. 주위 곳곳…
세오름 혹은 시오름이란 샘이 있는 오름 [한라일보] 한라산 영실탐방로를 따라 오르다 구상나무숲을 벗어나면 고산초원이 펼쳐진다. 여기서부터 왼쪽 오름을 따라 잘 만들어진 나무 데크 위를 걷는다. 이 오름은 봉우리가 하나…
한라산 정상 등정의마지막 베이스캠프 윗세오름 [한라일보] 1994년 서북벽을 통한 정상 등정이 금지됐다. 어리목탐방로와 영실탐방로로 오르는 사람들이 윗세오름대피소를 거쳐 이곳을 통과하게 되어있었다. 탐방객들은 바위…
1만명에게 식수를 공급하고도 남는 성널오름 샘물 [한라일보] 한라산 제1횡단도로의 남사면과 북사면의 분수령을 흔히 성판악이라 한다. 이곳의 버스정류장도 성판악정류장, 한라산 정상으로 가는 탐방로도 성판악탐방로라 …
‘성불’ 지명 유래를 불교에서찾는 건 이해 부족의 소치 [한라일보] 성불오름은 자체높이 97m로 보통 크기의 오름이다.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에 있다. 등성마루 두 봉우리 사이 골짜기에 샘이 솟는다. 이 샘은 성불오름 샘, 성…
맑은 샘과 물웅덩이가 곳곳에 있어 사람 살기 좋은 오름 [한라일보] 표선면 가시리 산1번지. 표고 238m, 자체높이 98m다. 가시라 마을 북쪽에 있는 오름이다. 이 오름은 자체높이가 낮고, 저경이나 둘레 모두 작은 오름에 속한다. …
제주 애정 많았던 이광환 전 LG 트윈스 감독 별세
윤호중 후보자 제주형 행정체제 개편 힘 실을까
노숙인·취객 단속하면 그만? 탐라문화광장 무질서 해법없나
제주연합H.C 회장배 전국생활체육 핸드볼대회 정상 '헹가래'
제주자치경찰 7~8월 낮 시간대 음주운전 특별단속
제주 쓰레기 처리장 한 달 만에 또다시 봉쇄
제주도,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 유치 실패
제주 여성 공무원 비율 45%… 5급 이상은 36.2%
[정이운의 문연路에서] 읍·면 교육활동은 상설협의체서 시…
(가칭)제주서부중학교 신설 본격화... 오는 11월 첫 삽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133] 3부 오름-(92)신…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132] 3부 오름-(91) 거…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131] 3부 오름-(90) 붉…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130] 3부 오름-(89)사…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129] 3부 오름-(88)쇠…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128] 3부 오름-(87)두…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127] 3부 오름-(86)뎌…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126] 3부 오름- (85) …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125] 3부 오름- (84) 느…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124] 3부 오름-(83) 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