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에 따라 바뀌어온지미오름의 이름 [한라일보] 지미봉은 지미오름이라고도 한다. 이 오름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432년 세종 14년 편찬한 ‘세종실록지리지’일 것이다. 여기에는 지말산(只末山)으로 나온다. 다음으로는 1439…
종달, 땅의 꼬리인가 땅의 끝 봉우리인가 [한라일보] 제주도에 종달리라는 마을이 있다. 제주시 구좌읍에 속하며 서귀포시 성산읍과 연접한다. 마을 이름 종달의 지명 풀이가 분분하다. ①'종달(終達)'은 맨 끝에 있는 땅, 제주…
주변을 압도하는 높이와깊은 구멍이 있는 오름 [한라일보] 다랑쉬오름의 지명엔 어떤 뜻이 들어있을까? 이 오름의 이름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그것은 잘 모른다는 의미와도 상통하는 면이 있다. 문자화한 이름만으로도 …
안친오름, 10여 개에 달하는 이름들이 품은 뜻 [한라일보] 돋오름에서 서남 방향 송당마을 사이에 안친오름이 있다. 아진오름이라고도 한다. 행정구역 상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지경이다. 오름의 둘레는 924m, 저경 319m, 면적은 46…
돼지 같은 오름 또는 돌아서 내린 오름은 오해 [한라일보] 돗오름은 해발고 283m다. 1530년(조선 중종 25년)에 편찬한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저악(猪岳)으로 표기한 것이 가장 이른 기록이다. 이후 1653년 '탐라지', 1709년 '탐라지도', …
용눈이오름, 높이는 은월봉과 같으나 면적은 두배 [한라일보] 송당에서 성산 쪽으로 가는 중산간도로 가까이에 있다. 다랑쉬오름에서 가깝다. 정상에 원형분화구 3개가 연이어 있고 그 안에는 동서쪽으로 조금 트인 타원형의 …
은월봉, 다랑쉬오름곁의 낮은 오름 [한라일보] 은월이 무슨 뜻일까. 이 오름은 구좌읍 종달리 산15~22에 있다. 높이 179.6m의 단성화산이다. 해발 200m에 육박한다고 하나 오름 자체의 높이는 75m에 불과하다. 이 오름은 일제강점기 …
아끈다랑쉬, ‘앉은 다랑쉬’인가‘작은 다랑쉬'인가 [한라일보] 다랑쉬오름의 정확한 뜻을 해명하기 위해 우선 주변의 상황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다랑쉬오름의 이름이 다양한 것은 그 뜻이 아니라 소리를 적었다는 것을 의…
백록담보다 깊은 분화구분출 당시 모습 그대로 [한라일보] 다랑쉬오름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세화리 산6번지이다. 동그랗게 형성된 분화구가 마치 컴퍼스를 대고 그린 듯하다. 오름의 정상에서 분화구를 내려 보…
한라산 삼각봉은 ‘세(쇠)’에부리가 덧붙은 '세부리' [한라일보] 경기도 강화의 고구려 때 이름은 고목근현(高木根縣)인데 여기서 근(根)자가 부리를 훈차한 것이다. 지금은 根(근)이라는 한자의 뜻을 '뿌리'라 하지만 오랜 옛…
분화구를 굼부리라고 표현하는 것은 잘못 [한라일보] 산굼부리라는 이름에서 드는 의문 두 번째는 굼부리의 뜻은 무엇인가이다. 제주어 사전은 굼부리는 '산 정상에 있는, 우묵하게 팬 곳'이라면서 분화구와 동의어라고 돼 있…
산굼부리와 선작지왓의 '산'과 '선'은 공통기원 [한라일보] 한라산에는 선작지왓이라는 곳이 있다. 대체로 붉은오름, 윗세오름, 윗세족은오름 3개 오름을 연결하는 선에서 동~남쪽에 이르는 지역으로 지칭한다. 한라산 총서에는…
산굼부리의 어두음‘산’은 山이 아니다 [한라일보] "탐라순력도에 '산구음부리악(山仇音夫里岳)', 제주삼읍도총지도와 제주삼읍전도에 '산구음부리(山九音浮里)', 제주군읍지의 제주지도에 '산굴(山窟)', '조선지지자료'에 '산…
제주도에 도착했을 때가장 먼저 이름 붙인 지형 [한라일보] 제주도는 오름의 왕국이다. 이 좁은 면적에 400여 개의 오름이 있다고 하니 얼마나 많은 것인가. 제주도 토박이만 아니라 짧은 기간의 여행자들에게도 오름을 보지 …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55] 3부 오름-(14)지미…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54] 3부 오름-(13)지미…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53] 3부 오름-(12)다랑…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52] 3부 오름-(11)'앉…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51] 3부 오름-(10)'돗…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50] 3부 오름-(9)용눈…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49] 3부 오름-(8)다랑…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48] 3부 오름-(7)다랑…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47] 3부 오름-(6)다랑…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46] 3부 오름-(5) 산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