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신과 인간 사이에서 생을 사는 이들이 있다. 모두가 신을 믿지는 않지만 믿는 이들에게 신은 막강한 존재다. 신의 힘을 그저 권력 이라고만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신은 존재하나 실체로 모두를 설득할 수 없고 그 힘은…
[한라일보] 산 자들은 죽은 자를 두려워 한다. 죽은 뒤에 넋으로 남는 '귀신'이라는 불분명한 형체에게는 더욱 그렇다. 확인할 수 없으나 감지할 수 있는 그것이 '죽음'이라는 공포와 가장 가깝기 때문이다. 그런데 많이들 하는 …
[한라일보] 2025년도의 미술관에서 1956년도에 만들어진 다큐멘터리 영화를 관람했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진행 중인 20205년 MMCA 필름앤비디오의 첫 번째 프로그램 프로그램 덕이었다. 타이틀에 걸맞게 미술, 건축, 음악, …
[한라일보] 20대에 만났던 친구들과 자주 향하던 곳은 퇴근 후의 술집이었다. 그때는 별 다른 이유 없이 모여서 마시고 떠들고 노래하며 새벽을 맞곤 했다. 시간이 조금 지나고 나서 친구들의 얼굴을 보게 되는 곳은 결혼식장이…
[한라일보] 타셈 싱 감독의 [더 폴: 디렉터스 컷](이하 [더 폴])이 지난 해 크리스마스 개봉 이후 2달이 채 안되는 시점에 11만 관객을 돌파하는 흥행세를 보이고 있다. 전국 70개가 되지 않는 상영관에서 시작한 [더 폴]의 이와 같…
[한라일보] 가끔은 스스로가 한겨울의 나무처럼 느껴질 때가 있을 것이다. 버석하게 마른 몸이 앙상하게 느껴지고 새싹이 돋아날 봄은 어쩐지 오지 않을 것 같은 기분이 드는 때는 예고 없이 찾아와서 기한 없이 머무르기도 한…
[한라일보] 영웅은 어떻게 역사에 남는가. '영웅'의 사전적 의미는 지혜와 재능이 뛰어나고 용맹하여 보통 사람이 하기 어려운 일을 해내는 사람이다. 여기에서 눈길을 끄는 건 '용맹'과 '보통 사람'이라는 부분이다. 지혜와 재능…
[한라일보] 새해가 밝았다. 지난 해의 여러가지 감정들을 기억 어딘가에 묻어둔 채로 새해의 소망을 비는 1월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이들이 해를 넘기지 못한 채 살고 있다. 넘어갈 수 없고 넘길 수 없어서다. 지난 해의 12월은 모…
[한라일보] 초록과 빨강이라는 선명한 색의 대비 위로 금빛 장식들이 더해지고 그 위로는 새하얀 눈이 내린다. 많은 이들에게 상상만으로도 달콤한 기분을 느끼게 하는 크리스마스의 풍경이다. 예수의 탄생일인 크리스마스는 …
[한라일보] 온라인 서점에 '이기는 습관'이라는 검색어를 치면 여러 권의 책 제목들이 주르륵 뜬다. 한 권 인 줄 알았더니 아니었던 것이다. 이렇게 엇비슷한 제목의 책이 많다는 것은 그 수요를 방증 한다. 그러니까 모두가 '이…
[한라일보] 타인의 비극 앞에서 진동하는 건 놀랍고 안타깝게도 호기심이다. 누가 아플 때, 슬플 때 누군가 세상을 떠났을 때 우리는 그 이유를 못 견디게 궁금해 한다. 물론 명백하게 밝혀져야 할, 누군가가 억지로 파묻은 비밀…
[한라일보] 희망은 발음하는 것만으로는 완성되기 어려운 단어다. 힘주어 그것을 말할 때는 온 몸의 힘을 다 써야 하고 입가의 진동을 참아내야 한다. 물론 그렇게 되기까지도 긴 시간이 걸린다. 나의 희망을 말하는 것이 이렇게…
[한라일보] 살면서 우리는 때로 가벼운 선택과 무거운 후회를 하기 마련이다. 삶의 다음이 어떻게 진행될지는 누구도 가늠할 수 없기에 어떤 선택들은 그저 순간에 충실하게, 나조차도 확신하지 못한 채 흘러가 머무르게 한다. …
[한라일보] 전쟁 같은 사랑, 전쟁 같은 하루, 폭격 맞은 것 같은 집 구석, 목숨을 건 도전, 총 맞은 것처럼…. 아무렇지 않게 보였고 읽었던 관용구들이었다. 마주치면 고개를 끄덕이면서 나 또한 일상에서 종종 마주치는 알 것 같…
1인당 15만∼55만원 소비쿠폰 21일부터 어떻게 받고 쓰나
제주도민 자동차 선호도 급변.. 경유·LPG '시들'
'화들짝' 서귀포 중문 호텔 화재 투숙객 40여명 대피
제주고 김지성 40년 만에 남고부 공기권총 전국 제패 '쾌거'
"제주 곶자왈 숨골 같은 역할로 국가폭력 트라우마 회복 기…
‘벚나무 벌목’ 제성마을 ‘시비(詩碑)’ 철거 놓고 갈등
제주여성 생애사 아카이브 추진
철재 기둥이 ‘쾅’… 제주 공사현장서 40대 중상
올여름 제주 마을 해수풀장 입장료 1000원 내린 3000원
[고승철의 현장시선] 다시 뛰는 제주 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