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기훈의 제주마을 탐방](85) 서귀포시 성산읍 신양리

더 나은 삶 위해 섭지코지 인근 바닷가로 이동하며 설촌지질자원 위에 세운 관광위락시설… "마소는 다 어디로"해안선 따라 섭지코지 한바퀴 도는 레일바이크 사업 구상 섬 제주에 하루의 시작을 알리는 새로운 해가 떠오르…

[양기훈의 제주마을 탐방](84)제주시 한경면 산양리

4·3당시 무장대 은거하던 방대한 숲지대 한수기곶연화동·수룡동·월광동 세 동네 합쳐져 마을 형성일찍이 청수리서 분리됐지만 지번엔 산양리 없어 한경면 맨 남쪽 중산간 마을, 제주시와 서귀포시가 만나는 경계에 있다. …

[양기훈의 제주마을 탐방](83)제주시 애월읍 장전리

군사훈련 역장에게 지급된 토지 명칭서 지명 유래역사적 자원 스토리텔링 말타고 활쏘는 체험 구상"마을 안길 막다른 골목들 다른 도로와 연결됐으면" '오모록'이라는 제주어 표현이 있다. 분지 지역까지는 아니지만 주변 지…

[양기훈의 제주마을 탐방](82) 제주시 구좌읍 덕천리

솥·보습 등 만들던 제주 동부지역 유일의 불미터4·3소개령 이후 마을 재건 위해 처절한 시절 보내"행정의 종계장 허가는 마을 발전 전략에 날벼락" 세계자연유산 지구 마을 중에 가장 큰 면적을 가지고 있어서 주민들의 자부…

[양기훈의 제주마을 탐방](81) 제주시 삼양동

삼화지구 아파트단지 건립 등 급속한 도시화 물결치병 장소였던 검은모래해변 관광자원 활용 축제화애향심과 외부인 품는 포용력 공존 마을발전 동력 역사적 상상력을 자극하는 정도로 보자면 섬 제주에서 이곳만 한 지역…

[양기훈의 제주마을 탐방] (80) 제주시 한림읍 수원리

옛 지명은 마을 생명수인 용천수와 연관 있어해녀 사망사고 빈번하자 고종 때 수원리로 개명전형적 반농반어촌 경관 활용 마을 수익 구상 섬 제주에서 농사를 짓는 사람들이라면 하염없이 부러워했던 흙을 가지고 있는 마을…

[양기훈의 제주마을 탐방](79) 서귀포시 안덕면 감산리

'곰뫼' 신산오름 부르는 옛 이름으로 마을 명칭 유래안덕계곡, 원시림으로 가치 높아 천연기념물 지정주민들 "계곡 하천변 활용 가능한 땅 1500평 방치돼마을공동체 소득사업 펼칠 수 있도록 행정지원 절실" '곰뫼'는 감산리와…

[양기훈의 제주마을 탐방](78)서귀포시 효돈동 하효마을

400년전 설촌 역사… 숲과 인근지역 개간해 살기 시작1960~70년대 마을 땅에 심은 편백나무 숲 자원으로 변모주민 "쇠소깍으로 관광객 유입되지만 마을 발전엔 미약편백나무 숲 활용한 수익사업 발굴엔 행정적 지원 절실" 매력…

[양기훈의 제주마을 탐방](77)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풍부한 조간대… 전통적 수산업 해신제·민요 전승 마을선진 폐기물처리시설 도입으로 마을발전 전환기 맞아폐기물 소각장 열 이용한 다양한 마을 소득 창출 기대 만연주민들 "신재생에너지 중심지 되기 위해 돈사 이전 시급" …

[양기훈의 제주마을 탐방](76)제주시 한경면 한원리

마을이름 두모리서 두모2구→ 1953년 한원리로한원리 입구서 용금로에 이르는 향나무 거리 일품'서리논문화센터조성사업' 2019년 완공 목표 추진주민들의 다양한 문화 활동 통해 소질개발 증대 등 제주의 옛 모습이 가장 많이 …

[양기훈의 제주마을 탐방](75)서귀포시 대천동 도순리

1402년 마을 형성… '석송리'서 일제강점기 '도순리'로국내 유일의 천연기념물 '녹나무 자생지' 마을의 자랑도순리 부녀회 수제 돈가스 생산해 맛 경쟁력 인정받아서창영 마을회장 비라도 크게 오는 날이면 냇가에 물소리가 …

[양기훈의 제주마을 탐방](74) 제주시 조천읍 와산리

설촌 역사 350여년… 당시 마을이름 와호산(臥虎山),주민 호랑이처럼 용력과시- '호'뺀 '와산'으로 사용주민들 "마을복지회관 노후화로 문화 복지 어려워개발위원회 노력하고 있지만 행정 관심 절실" 터를 잘 잡은 마을이다. …

[양기훈의 제주마을 탐방](73) 서귀포시 남원읍 하례1리

고려 충렬왕 제주 14현으로 나눌 때 호촌현(狐村縣) 등장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지정 '개소'·'남매소' 풍광 일품故 김윤수 선생, 일본서 감귤 묘목 반입 제주 첫 감귤 농사환경부 '생태관광마을' 지정… 주민소득 연결 위해 노…

[양기훈의 제주마을 탐방](72) 제주시 애월읍 용흥리

700여년전 설촌… 제주 서쪽 애월읍 중앙 위치한 작은 마을용이 하늘로 올라갔다는 전설 깃든 용마루 언덕 마을의 상징행정리 분리 연혁 짧지만 십시일반 정성 모아 공동자산 일궈용마루 김치·제주와이너리·콩산업 등 마을발…

[양기훈의 제주마을 탐방](71)제주시 구좌읍 세화리

700여년전 설촌… 제주섬 동쪽 구좌읍 중심지 역할 수행유명 관광명소로 자리매김중인 다랑쉬오름은 마을 상징마을공동체 이끄는 밑거름은 강한 생활력과 주민간 신뢰주민들 "쇼핑 공간 조성· 야시장 기반 갖춘 오일장 돼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