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4·3아카이브 기록관 건립 토론회가 25일 제주4·3평화기념관에서 개최됐다.
[한라일보] 제주4·3아카이브 기록관 건립 형태와 위치를 두고 상반된 방안들이 제시됐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5일 제주4·3평화기념관에서 '제주4·3아카이브 기록관 건립의 미래-기록관이 건립되면 무엇을 담을 것인가'를 주제로 '제주4·3아카이브 기록관 건립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주제 발표를 맡은 김재순 전 국가기록원 나라기록관장은 기록관 건립 형태를 두고 제주도 주도의 '제주4·3기록관'과 중앙정부 주도의 '제주권역 국가보존시설' 두 가지 안 중 제주권역 국가보존시설안을 권고했다.
김 전 관장은 "4·3기록관은 관련 법 개정 없이는 수형인명부 등 중앙정부에서 생산한 기록물을 사본으로 수집해야 한다"며 "반면 국가보존시설의 경우 전근대 기록물과 해외 수집기록물 등만 사본으로 수집하고 나머지는 원본으로 수집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제주4·3평화기념관이 국가기록원과 유기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해 국제행사를 개최하면 UN에 가입한 모든 나라들의 기록유산 전문가들이 참여가 가능해 제주4·3의 세계사적 위상 정립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록관 설립 위치를 두고도 4·3평화공원 이외에 원도심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하성용 제주특별자치도의회 4·3특별위원장(더불어민주당, 안덕면)은 "평화공원 부지 내 건립할 경우 모든 시설이 집중돼 추모와 기억의 상징이 극대화되고 운영 효율성과 인력 인프라 연계도 가능하지만 도시 외곽에 위치해 있어 접근성 부분에 대해 해결해야 할 고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광주의 5·18민주화운동기록관은 역사적 현장인 옛 광주가톨릭센터 건물을 리모델링해 성공적인 사례로 남았다"며 "4·3의 도화선이었던 원도심 장소에 세우면 살아있는 역사 교육의 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일상 속에서 쉽게 방문이 가능하며 도시재생사업과 연계해 침체된 원도심에 활력을 불어넣는 문화자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관덕정 일대 조성에 힘을 실었다.
김종민 제주4·3평화재단 이사장은 앞선 두 제안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내비쳤다. 김 이사장은 "예를 들어 탐라순력도가 관리를 이유로 제주도 말고 국립중앙박물관에 둬야 한다는 논리는 아닌 것 같다"며 "기록관을 국가 차원이 아닌 제주도가 주체가 돼서 관리하는 게 맞다고 본다"고 했다.
기록관 원도심 조성에 대해서도 "평화공원 접근성이 안 좋다고 하는데 대관을 많이 신청한다"며 "시내 중심가가 아닌 여기를 찾는 건 주차문제 때문"이라고 반박했다.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