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중국 단체관광객 대상 무비자 입국이 전국으로 한시 확대된 첫날인 29일, 제주는 정책 파급 효과를 예의주시하는 모습이다. 이날 중국 선사의 크루즈 관광객이 인천항을 찾아 북적인 가운데, 제주 현장 일각에서는 체감 변화가 크지 않다는 반응이 나온다. 다만 관광 수요 분산 우려와 제주 유입에 대한 기대감이 상존하는 분위기다.
정부가 29일부터 내년 6월 30일까지 중국 단체 관광객 대상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면서, 국내·외 전담여행사가 모객한 3인 이상 중국인 단체관광객은 비자 없이 15일간 국내 관광을 할 수 있다.
제주도는 이전과 동일하게 개별·단체관광객 모두 30일 무비자 방침이 유지되지만, 일각에선 차별점이 희석되면서 중국인 관광 수요 분산에 대한 우려감이 제기되고 있다. 반면 무비자 확대 효과로 중국의 방한 수요가 늘 경우 일부가 제주로 유입될 수 있다는 기대감도 맞물리고 있다. 이에 따라 관광 수요 분산을 되려 추가 유입으로 돌릴 수 있는 대응 전략에도 관심이 쏠린다.
관광업계 한 관계자는 "아직 큰 영향이나 동요는 파악되지 않고 있고, 추이를 지켜봐야할 것 같다"고 현재 분위기를 전했다. 이어 "제주가 '관광'측면의 강점이 있지만, 개별 관광 수요가 타지역으로 분산될 가능성은 염려되는 부분이다"라고 말했다.
여행업계 일각에서도 "코로나19이후 관광패턴이 개별 중심으로 바뀌었고, 제주는 개별관광객이 대부분이라 아직 큰 영향은 없는 분위기"라고 평가했다. 다만 젊은층의 개별관광객이 타지역으로 분산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하며 중국시장을 넘어 시장 다변화를 위한 공격적인 마케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항공업계 일각에선 이번 조치로 경유 기반 제주 편입이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면세업계 한 관계자는 "지금은 예의주시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한류문화가 코로나19에 주춤했다가 다시 전세계인에게 각광받고 있기도 하고, 제주 입장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예측은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제주도는 이번 한시적 무비자 정책에 대응해 마케팅 강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선제적 대응 전략으로 단기적으로 개별관광객 대상 온라인 매체를 활용한 홍보를 확대해 서울, 부산 등 수도권을 통해 방한하는 중국인 관광객 수요 확보에 나서고 중장기적으로 차별화된 제주여행상품 개발을 확대해 제주만의 경쟁력을 확보한다. 또 가족·교육여행 등 신규시장 개발을 통해 신규 수요도 창출해나갈 계획이다.
한편 올해 제주를 찾은 관광객(잠정)이 지난 26일 기준 1000만명을 돌파했다. 지난해 돌파 시점(9월 17일)에 비해 9일 늦은 기록이다.
올해 7월까지 제주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을 국적별로 보면 아시아권 관광객이 전체의 93.9%(119만6949명)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크다. 이 가운데 중국(94만974명)·대만(11만7497명)·홍콩(2만6724명) 등 중화권 관광객이 108만5195명으로, 전체의 85.1%를 차지하며 제주 인바운드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중국 관광객이 가장 많았으며, 방한 외국인 중 점유율도 30.1%(2024년 30.9%)로 높은 수준이다.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