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해양탐사 제주바다, 그 변화의 기록] (7)동일리 마을어장
갯녹음 확산으로 수심 5m 이내까지 생태계 붕괴 '심각'4㏊ 규모 인공어초 설치…패조류·어류 서식처 역할 톡톡수중탐사 결과, 해조류 번식·생물 다양성 회복 징후 뚜렷"자연 천이·플랑크톤 증가"… 생산성 회복 가능성에 주목 …
고대로 오소범 기자 ㅣ 2025. 07.24. 03:00:00
[2025 해양탐사 제주바다, 그 변화의 기록] (6)함덕리 마을어장
함덕 앞바다 수심 15m… 인공어초 4㏊ 설치다양한 해조류 해중림 형성… 회복 가능성 입증어초에 감태·미역·볼락 등 정착성 어종도 서식50년간 총 2700억 투입… 매몰·파손 정기 점검 [한라일보] 제주도와 한국수산자원공단 제…
고대로 오소범 기자 ㅣ 2025. 07.10. 03:00:00
[2025 해양탐사 제주바다, 그 변화의 기록] (3)일과리 마을어장
쿠로시오 난류 지나는 제주 서부 끝단저염분수 유입·수온 상승 관측 최적지긴침성게 확산에 해조류 생태계 '비상'작년 고수온 충격서 '회복 조짐' 주목 [한라일보] 서귀포시 대정읍 일과리 마을어장은 제주도 서부 해역 최서단…
고대로 오소범 기자 ㅣ 2025. 05.29. 03:00:00
[2025 해양탐사 제주바다, 그 변화의 기록] (2)평대리 마을 어장
2012년 조사 당시 풍성했던 해중림 지역 갯녹음 확산우뭇가사리 3년 전 1500여 개서 작년 300여개로 감소올 겨울 낮은 수온, 미역 대량 번식… 지속 여부 주목얕은 바다 설치한 ‘해조생육블록’에 각종 해조류 부착 [한라일보] 제…
고대로 오소범 기자 ㅣ 2025. 05.15. 03: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