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뿌리 주민자치, 주민참여예산제도에 거는 기대
2020-07-01 09:56
|
|||
---|---|---|---|
이도1동 (Homepage : http://)
|
|||
주민참여 예산제도는 시민들이 그 지역사회를 발전시키기 위해 사업 우선순위를 제시하고, 토론과 협상을 통해 지방자치단체가 행하는 예산편성과정에 참여하는 제도이다. 2003년 광주 광산구에서 시작된 우리나라 주민참여 예산제도는 2011년 전국으로 확대되었고, 제주는 2012년부터 시행되었다. 주민자치 실현은 주민참여예산에서부터 시작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방정부의 예산편성에 주민대표가 참여함으로써 재정운영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높이고, 예산에 대한 시민 통제를 통해 책임성을 높일 수 있다. ?지역 주민이라면 누구나 평소 생활 불편사항이나 지역 발전을 위해 의견을 제출할 수 있다. 이도1동 주민참여예산지역회의(위원장 고두승)는 지난 6월 24일 2차 지역회의를 개최하여 총 12개 사업이 발굴 되었고, 이 중 주민센터 내부회의를 거쳐 5개 사업을 선정하여 사업 적정성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특히, 2차 회의는 여느 때와 달리 분임토의, 분임발표 및 질의응답 순으로 분임토의 방식으로 회의가 진행되었는데, 주민대표의 참여 열기가 높았고, 참신하고 다양한 지역개발사업이 제안되었다. 2021년 예산편성을 위한 사업제안 내용 중에는 제주성지를 중심으로 한 사업 아이템들이 많았다. 골목길을 활용한 벽화거리 사업, 동네 올레길을 활용한 도심속 작가갤러리 등 산지천을 중심으로 원도심을 살릴 수 있는 참신한 아이디어가 사업에 반영되었다. 역사와 문화가 흐르는 행복마을 이도1동이 도심 속에 아름다운 갤러리가 있고, 이제는 잊혀져가는 돌담길 골목이 도민과 관광객이 사랑받는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하는 모습을 보고 싶다. 비록 주민참여 예산규모가 작은 점이 아쉽지만, 주민이 직접 사업발굴에 참여하고 투자 우선순위를 정하면서 행복마을을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풀뿌리 주민자치의 참모습을 보게 된다. 주민참여예산제도가 올바르게 정착하고 성장하기 위해서는 도민의 많은 관심과 참여가 절실하다. |
|
21일 지급 개시 '민생회복 소비쿠폰' 궁금증 풀이 '10문 10답'
제주 우도 8년 만에 전세버스·전기 렌터카 운행 허용
"설립할 수 없는 곳을…" 제주 국가기관 유치 철회 촌극
'장수수당' 미신청자 계속 발생… 제도 개선 필요
[현장] 폭염·폭우 속 클린하우스 지키는 도우미들
용암해수 활용 제주해양치유센터 건립 본격화
오영훈 제주지사 상반기 직무 긍정평가 47% [한국갤럽]
'폭염' 제주 식중독 '비상'.. 6월 29명, 7월 벌써 26명
제주삼다수 매출액 지난해 사상 첫 104억원 줄었다
[현창석의 문화광장] 제주 관광산업과 디자인
서귀포 연안사고 56% 여름에 발생… 해경 안전캠…
제주 아파트 절반 ‘스프링클러 미설치’ 노후 …
제주 태권도 기대주 KTA버츄얼태권도 챌린지 6개 …
제주 교권보호위 처분에 교사노조 "제도적 보호…
[종합] 서귀포 유명 카페서 10대 고등학생 불법촬…
제주의 밤 달린다... '야간 시티투어버스' 18일부…
지난해 제주시 애월읍 손상환자 가장 많았다
제주관광공사 면세점 매출 급감.. 지난해 적자 '…
제주도 "내년까지 도내 기업 4곳 상장 전망"
“구조 임무를 ‘멍’ 받았습니다” 119구조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