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문규의 특별기고] 탐라의 종은 언제 다시 울리나

[강문규의 특별기고] 탐라의 종은 언제 다시 울리나
  • 입력 : 2022. 07.04(월) 00:00
  • 최다훈 기자 orca@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한라일보] 요즘 세대들에게는 혹, 낯설지도 모르지만 헤밍웨이의 원작인 '누구를 위해 종은 울리나'는 한 시대를 풍미한 명화였다.

이 영화는 서구문물에 익숙치 못한 1960년대 젊은이들에게도 깊은 인상을 주었다. 일세를 풍미했던 남녀 주인공 게리 쿠퍼는 너무 멋졌고, 잉그리드 버그만은 너무나 아름다웠다.

탐라의 종에 관한 이야기도 많다. 1990년대 초 제주시는 목관아 터를 허물어 지하 2층 300대 수용 규모의 주차장을 조성하겠다고 나섰다. 그러자 천년의 사적지를 파괴해서는 안된다는 거센 반발에 부딪혀 사업은 백지화됐다. 그 후 10년 가까운 발굴 작업을 거쳐 2000년대 초 마침내 옛 관아건물들이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그러나 종루(鎭海樓)는 복원했는데 어쩐지 20년이 가깝도록 종은 보이지 않고 있다.

탐라의 종에 관한 기록은 차고 넘친다. 1435년(세종17) '홍화각기'는 제주목관아가 소실되자 다음해 안무사 최해산이 관아를 복원한 경위를 적은 글이다. 이 때 종루(鍾樓)를 설치한 사실이 나타난다.

1392년 건국한 조선은 제주목을 설치할 때 새로 관아를 지었거나 읍성을 축조했다는 기록은 찾아 볼 수 없다.

그렇다면 최해산 목사 때 소실된 목관아는 탐라시대부터 이어져 온 옛 관아를 승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불타버린 종루나, 그 속에 설치된 종 역시 다르지 않다.

1699년 남지훈 목사는 종루를 개건(改建), 이 누각에 옛 묘련사의 종을 구입해 매달아 백성들에게 시각을 알리게 했다고 한다.

1703년 이형상 목사가 남긴 '탐라순력도'에는 외대문의 문루에 종과 북이 선명히 그려져 있다. 18세기 후반에 그려진 것으로 보이는 '탐라방영총람'에도 외대문에 종이 걸려 있음을 알게 한다.

종에 관한 기록은 계속된다. 1847년 이의식 목사는 종에 금이 생겨나자 이를 녹여 화로와 무기로 만들었다.

그러나 이듬해 새로 도임한 장인식 목사는 "역사가 오랜 탐라고도(耽羅古都)에 종이 없으면 안된다"며 전라도 영암 미황사에 있는 큰 종을 900냥에 사들였다. 무게 500근에 높이 2척, 둘레는 5척3촌 등이라고 세세히 기록해 놓았다. 이렇게 전해지던 종루는 1916년 일제에 의해 목관아가 허물어질 때 함께 훼철됐다.

해마다 송구영신의 시기가 되면 제야의 종소리가 울려퍼진다. 보신각 종 만이 아니다. 제주와 세종시를 제외한 전국 15개 시·도에서 타종행사가 열리고 있다.

제주도정은 전국에서 가장 앞선 시기에 목관아를 복원하고도 정작 관아의 생명력을 불어넣는 종 복원은 사실상 방치하고 있다.

제주목관아는 화룡점정(畵龍點睛)이 안 된, 미완의 복원이다. 이제 갓 출범한 오영훈 도정은 탐라의 역사에 많은 관심을 드러내고 있다. 그런 의지가 탐라의 종 복원으로 이어졌으면 좋겠다. 그래서 그 울림이 대대손손 제주사회에 퍼져나가길 기대해 본다. <강문규 전 언론인>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5 개)
이         름 이   메   일
9459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김미옥 2022.07.08 (14:07:27)삭제
제주에 갓 이주한 도민으로서 탐라고도에 역사적인 종이 있었다는 사실을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일제에 의해 제주 목관아와 종이 훼철된 역사도 쓰리지만 어렵사리 목관아를 복원하고도 아직 종을 설치하지 못하고 있다니 참으로 안타까운 심정입니다. 새로 출범한 오영훈 시장이 탐라의 종을 반드시 복원해 주시고 그 종소리가 제주의 올레 구석구석에 맑게 울려퍼지길 간절히 바랍니다.
돌석이 2022.07.07 (17:25:30)삭제
이런 역사적인 기록이 있는데 어떻게 여지껏 이리 방치(?)해 둘 수있는지... 참 답답한 심정입니다, 뜻있는 사람들끼리 모여서 뭐라도 해야 될것 같은 심정에 도정 관계자들께서 관심을 두지 않는다면 도민들이라도 움직여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기사(?)였습니다.
유후니 2022.07.07 (12:45:33)삭제
일반인들이 쉽게 접할 수 없는 흥미로운 역사적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아무쪼록 관에서 잘 검토되어 우리 제주에서도 섣달 그믐날 제주 목관아에서 울려 퍼지는 종소리를 들을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김천석 2022.07.07 (12:35:34)삭제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역사를 복원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역사적 사실을 왜곡되지 않게 제대로 복원해야 한다는 전제를 가끔 소홀히 하는것 같아 안타까운 마음입니다. 종루에 종이 있어 한번씩 추억의 소리를 듣게 되기를 간절히 소망합니다. 적극 지지와 성원을 보냅니다~!!
고성돈 2022.07.06 (11:30:32)삭제
“역사가 오랜 탐라고도에 종이 없으면 안된다”며 전라도 영암에서 종을 사들인 장인식 제주목사와 자칫 파괴소실될뻔한 제주목관아의 복원에 진심을 바친 강문규 선샌님은 우리에게 큰 울림과 감동을 줍니다. 오영훈도정은 여기에 화룡점정인 종을 복원함으로써 제주도민들에게 다시금 감동을 안겨주시지 않겠습니까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