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제주도의회가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행정구역을 3개로 할지, 2개로 개편할지에 대해 여론 조사를 실시한 결과 2개 행정구역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는 2일 이런 내용의 ‘행정구역 개편안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도의회 의뢰를 받은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도내 거주 18세 이상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21일부터 그달 26일까지 모바일 웹조사(80%), 유선 전화 무작위 걸기(20%) 방식으로 진행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5%다.
조사 결과 제주시와 서귀포시에 각각 기초자치단체를 설치해 행정구역을 2개로 개편하는 방안에 대한 찬성 의견은 40.2%로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행정구역을 동제주시, 서제주시, 서귀포시 등 3개로 나눠 각각 기초단체를 설치하는 개편안에 대해선 찬성 의견이 28.4%로 2개 기초시 행정구역 찬성 비율보다 11.8%p낮았다.
거주지역 별로는 선호도가 엇갈렸다. 제주시 거주자를 상대로 한 조사에선 '2개 구역' 42.6%, '3개구역' 25.5%로 2개 구역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반면, 서귀포시 거주자는 '3개 구역' 35.8%, '2개 구역' 34.1%로 오차범위 안에서 3개 구역 선호도가 높았다.
3개 기초시를 두는 방안은 오영훈 도정이, 2개 기초시를 설치하는 방안은 같은당 소속의 더불어민주당 김한규 의원(제주시을)이 각각 추진하는 행정체제 개편안이다.
제주형 기초단체 설치 자체를 반대하는 의견은 20.1%로 조사됐다. 나머지 11.3%는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제주형 기초단체 도입 시기에 대해선 도민 의견 수렴, 추가적인 정보 제공과 상황 변화를 고려한 후 진행해야 한다는 응답이 66.4%로 오영훈 도정이 목표한 2026년 7월을 바라는 응답(23.0%)보다 3배 가까이 비중이 높았다.

제주자치도의회 행정구역 개편 여론조사 결과.
오영훈 도정 목표대로 내년 7월 제주형 기초단체를 설치하기 위해선 행정안전부 장관의 요구에 의해 늦어도 올해 11월에는 주민투표가 실시돼야 하는데, 정부가 9월 현재까지 정책 결정을 미루고 있고, 행정구역을 2개로 할지 3개로 할지를 놓고서도 도민 사회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 도민 여론에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오영훈 도정이 추진하는 행정구역으로 3개로 나누는 제주형 행정체제개편안에 대한 인지도 조사에서는 도민 77.5%가 ‘알고 있다’ 고 답했으며,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서귀포시)이 오 도정 정책을 반영해 3개 기초시 설치법안과 김한규 의원 도정 개편안에 반대하는 2개 기초시 설치 법안에 대한 인지도 조사에서는 69.8%가 각 법안이 발의된 사실을 알고 있다고 답했다.
제주도의회는 이번 여론 조사결과를 이날 제주도에 전달했다. 또 여론조사를 주도한 이상봉 의장은 보도자료를 통해 "조사 결과를 가감 없이 도민들에게 공개하고 제주형 행정체제 개편 관련 도민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민의를 반영한 행정체제 개편 방향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이 의장은 본보와 통화에서 '보도자료에서 언급한 민의를 반영한 행정체제개편 방향이 제주도가 행정구역을 2개로 수정해야 한다는 뜻이냐'는 질문에 "기초단체 설치에 공감하되 행정구역 개편 방향에 대해선 좀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하다는 게 이번 조사를 통해 도출된 여론인 것 같다"며 "앞으로 공론화 과정이 추가적으로 있다면 이런 여론을 참고해야 한다는 취지이지, 구체적인 개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여론 조사 결과를 전달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도의회 여론조사에서 2개 행정구역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지만 제주도가 이를 수용할 가능성은 낮다.
앞서 양기철 제주도 기획조정실장은 지난달 6일 의회에 출석해 "행정체제개편위원회를 통해 도민 의견을 하나로 모아 정부에 개편안을 제출한 상황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새로운 여론조사를 실시하는 것은 부담이 많고 어려움이 있다"며 이번 조사에 대한 수용 거부 입장을 밝혔었다.
다만 오 도정이 내년 7월 출범을 위해 설정한 물리적 가능 시한인 ‘8월 주민 투표 요구’가 무산된 만큼 도입 시기를 수정할 가능성은 있다.
그동안 행정체제개편을 둘러싼 사회적 혼란에 대해 언급을 자제해 온 오 지사는 오는 4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번 논란에 대한 첫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