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미의 목요담론] 모두의 정주여건 위한 생활권 공원과 숲, 탄소중립

[김경미의 목요담론] 모두의 정주여건 위한 생활권 공원과 숲, 탄소중립
  • 입력 : 2021. 10.14(목) 00:00
  • 이정오 기자 qwer6281@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문화체육관광부는 2020년 문화·여가 관련 2가지 국가승인 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내용을 보면 비대면 여가활동과 혼자서 하는 여가활동이 코로나19로 크게 증가했다. 여가 공간으로는 식당 38.0%, 아파트 내(집주변) 공터 28.8%, 카페 25.6%, 생활권 공원 24.6%로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생활권 내 공간으로 조사됐다. 여기서 눈여겨 볼 필요가 있는 부분은 공터와 생활권 공원 비중이 꽤 높다는 것이다.

공원은 건강을 위해 자유롭게 거닐면서 휴식할 수 있는 장소이며, 주민들의 소통 장소이다. 정주여건을 말할 때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공원이기도 하다. 공원의 중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이후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휴식 공간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도시 공원이 하나의 시설로 1961년 도시계획법에 규정된 후 도시계획의 일부가 되어 도시공원이라고 명명(命名)하게 됐다.

생활권내에 있는 공터 역시 걷기와 산책을 하는 힐링 공간이다. 특히 코로나19로 실내 체육관, 학교 운동장이 폐쇄되면서 주민들이 갈 곳이 마땅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터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감당했다. 그러나 아직까지 공터는 안전을 비롯한 주민들의 정주여건으로는 보완해야 할 부분은 있다.

산림청은 올해 초 '2050 탄소중립 산림부문 추진전략'을 발표하며 2050년까지 매년 1억 그루의 나무를 30년간 심어 30억 그루의 나무로 탄소 3400만t을 줄이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기후 위기 대응 정책으로 자연친화적인 '숲과 나무'를 선택한 것이다. 그 중 미세먼지 차단 숲, 도시바람 길 숲, 생활밀착형 숲 등 다양한 유형의 도시 숲을 확충한다는 내용을 보면서 공원과 공터를 연계한 탄소중립 정책을 보게 된다.

광주는 내년까지 2년간 국비와 시비 200억 원의 예산을 들여 도시 바람길 숲 조성 사업을 시작했다. 오랫동안 도시였던 광주시가 도시 바람길 숲 조성을 하려고 해도 사방이 막혀 숲길을 만들기 어려운 상황이었지만 도시녹지공간을 확보하고 가로수를 심고 학교에 나무를 심으며, 도시공원 내 공유지를 활용해 2022년까지 광주시 전역에 14만㎡ 규모의 도시바람 길 숲이 조성될 예정이다.

제주는 248개소의 도시공원을 조성, 관리하고 있으며. 194개소는 조성완료가 돼 있고, 19개소는 조성중이다. 35개소는 미조성 공원이며 그 중 어린이공원은 11개소이다. 대선 공약을 비롯해 '탄소중립 제주'를 말하고 있는 시점에 다양한 기능 역할을 할 수 있는 잠재성을 가지고 있는 생활권 공원·숲 조성 활성화 정책은 주민들의 정주여건과 더불어 탄소중립 제주를 위해 매우 중요한 정책이라고 본다.

코로나19가 기후 위기로 인한 생태계 파괴라는 큰 경각심을 갖게 된 지금.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정책이 저탄소정책과 중심축과 더불어 각 부서의 주류 정책으로 전환돼야 한다. <김경미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1362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