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화상의 올바른 응급처치
2022-02-10 07:36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 쉽게 노출된 사고 부상으로는 화상을 손꼽을 수 있다. 화상의 기전과 종류 등 화상을 입었을 때의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자.

화상을 입은 넓이와 깊이에 따라 1~4단계로 구분되며 증상이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1도 화상이란 대표적으로 일광화상으로 직사광선에 장시간 노출되거나 고도의 발열에 순간적으로 접촉 또는 노출되었을 때 발생한다. 통증과 함께 피부가 빨갛게 되는 발적 현상이 나타나며 물집은 생기지 않는다. 이는 수일이 경과하면 흔적 없이 회복하는 화상이다.

2도 화상은 주로 열탕화상이나 가벼운 화염 화상에 의하여 나타나며 수포를 형성하고 붉은색을 띠며 피하조직의 부종을 동반하고 심하게 통증을 느끼게 된다. 대부분 2주 내 완전 치유가 가능하지만, 깊은 심재성 화상의 경우 피부이식 수술이 필요하거나 흉터가 남는 경우도 있다.

3도 화상의 경우 피부의 표피, 진피층은 물론 피하 지방층까지 손상이 파급된 상태로 전층 화상이다.
피부 감각을 상실하여 핀으로 찔러도 통증을 느끼지 못하며 이는 죽은 조직으로 감각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4도 화상은 가장 깊은 화상 상처로 피부의 전층과 근육, 뼈 등의 심부 조직까지 손상이 파급된 상태로 피부이식 및 수술 등을 필요로 하며 심각한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화상의 응급처치로는 흐르는 찬물에 화상 부위를 15분~30분 정도 열을 식히며, 옷이 달라붙은 경우에는 억지로 떼어내지 않으며, 환부의 물집을 터뜨리지 않는다. 깨끗한 거즈로 화상 부위를 덮어 감염 예방 및 환자의 체온을 유지해 주어야 한다.

화상은 우리 주변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만큼 처치법도 잘 숙지해야 한다. 초기 응급처치로 화상에 의한 손상을 경감시키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

No 제목 이름 날짜
3647 기고문  ×1 ×1 비밀글 이휘재 02-16
3646 청년정책 정보가 온다! 제주청년등록시스템(청년DB)  ×1 김신관 02-11
3645 흐릿한 목표를 확고하게 해준 소방실습을 마치며  ×1 강시혁 02-08
3644 솜다리도타리클럽 위문 격려  ×1 창암교육활동센터 02-06
3643 설 명절 고유 전통의 의미 살리고 청렴한 공직문화 조성에 앞장  ×1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백경훈 사장 02-06
3642 제주솜다리로타리클럽, (사)제주YWCA에 취약계층 청소년들을 위한 쌀 300kg 및…  ×1 (사)제주YWCA 02-05
3641 기고)올해 지방세 제도 어떻게 달라지나요  ×1 고종필 02-04
3640 도민감사관의 직무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2-03
3639 가스 안전 수칙 실천으로 행복한 신구간  ×1 ×1 서귀포소방서 효돈119센터 백승종 01-31
3638 희망과 꿈이 가득한 오조리 마을을 꿈꾸며  ×1 01-30
3637 도민감사관의 청렴관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1-28
3636 유학(儒學)사상은 삶의 이치(理致)를 구하는 학문입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 향교재단 이사장 문 01-26
3635 (사)제주YWCA, 제3차 정기총회 및 30대 회장 정윤희 이사 취임  ×1 (사)제주YWCA 01-25
3634 삶의 질 향상은 평생학습으로  ×1 제주대학교 평생교육원 조두환 01-25
3633 3대 전기 난방용품 안전수칙 준수로 따뜻한 겨울나기  ×1 ×1 서귀포소방서 효돈119센터 백승종 01-25
3632 (주)제이피엠 사랑의 헌혈봉사  ×1 (주)제이피엠 01-24
3631 인감증명서 발급하기 전에 알아야 할 것   ×1 심소연 01-24
3630 기고)도민 여러분을 세정대학으로 초대합니다.  ×1 고종필 01-19
3629 모두의 안전을 위한 겨울의 예방 메시지  ×1 ×1 제주소방서 노형119센터 강정준 01-19
3628 2024년 겨울철 화재 예방을 위한 3가지 수칙  ×1 제주소방서 이도119센터 김형남 01-18
3627 인감증명서 발급하기전에 알아야할 것   ×1 건입동주민센터 심소연 01-17
3626 도민 모두가 행복한 “ᄀᆞ치 행복한 뜨락”   ×1 ×1 제주개발공사 주거복지팀 김봉철 팀장 01-16
3625 제주도민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새로운 변화!  ×1 ×1 제주개발공사 김대현 주거복지본부장 01-16
3624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국립평창청소년수련원 ‘2024 늘빛…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1-15
3623 제주 청년활동의 꿀공간 '청년다락'  ×1 김신관 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