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최근 지역 언론이 보도한 제주도 공무원 비위와 경징계 논란은 우리 공직 사회에 뼈아픈 반성을 요구한다. 부정 보도에 해명하기보다 근본적인 자정 노력을 다짐해야 할 때다.
일부 공직자의 비위는 '이 정도는 괜찮겠지'라는 안일함에서 시작해 '습관'처럼 만연하고 있다. 사소한 규정 위반이나 특혜를 당연시하는 태도, 동료 비위에 대한 집단 무감각은 조직 전체의 기강을 해이하게 만든다. 우리는 습관처럼 아무렇지도 않게 저질러지는 비위에 대해 냉정한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이러한 공직 기강 해이는 도민의 불신과 실망으로 이어져, '청정 제주'를 향한 노력을 무력하게 한다.
비위 근절을 위해 공직자 개개인의 의식 대전환이 절실하다. 법적 징계와 별개로 도민의 신뢰를 저버리는 행위에 대해 강력한 자정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형식적인 교육을 넘어 공직자의 책임감과 윤리의식을 내재화하는 실질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청렴은 '도민을 위해 반드시 갖춰야 할 능력'임을 깨닫게 해야 한다. 제주 공직자는 도민의 삶을 책임지는 막중한 임무를 맡고 있다. 우리의 작은 비위 하나가 도민 전체에 불이익과 불신을 안겨줄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언론의 부정적 보도에 변명할 것이 아니라 '청렴'이라는 공직자로서의 가장 기본적인 자격을 먼저 갖추고 행동으로 도민의 신뢰를 얻어야한다. 제주 공직 사회가 솔선수범해 깨끗한 공직 문화를 정착시키고, 도민에게 존경받는 조직으로 거듭나기를 다짐해본다. <강형미 제주도 친환경농업정책과 주무관>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