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기념물 제422호인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주변 해역에서 해양생물자원으로 가치가 높은 연산호류가 점차 확산되면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체계적인 보호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시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이 일대에 대한 어류 해조류 저서동물 등 해양생물 분포현황을 조사한 결과 큰수지맨드라미, 분홍바다맨드라미 등의 연산호류가 확산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또한 차귀도 천연보호구역에는 쏨뱅이, 놀래기 등 정착성 어종뿐만 아니라 줄도화돔, 거북복 등 아열대 어종 등 50여종의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어종 변화를 관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해조류는 녹조류가 8종(13.8%), 갈조류가 18종(31.0%), 홍조류가 32종(55.2%) 등 58종이 관찰됐다. 특히, 조사해역은 석회조류가 조하대 암반에 착생하고 있으나, 유용 해조자원인 감태, 미역 등도 양호하게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밖에도 저서동물 123종이 분포하고 있는 가운데 자포동물이 40종 32.5%를 차지 가장 많은 분포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어 연체동물 32종으로 26.0%, 해면동물 18종(14.6)% 등으로 나타났다.
제주시는 올해 말까지 모티너링을 실시 차귀도 천연보호구역내 수중 해양생물의 분포현황과 계절적 변화 등 수중생물에 대한 DB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