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술국치 100년' 제주 원풍경을 되살린다](21·끝)관덕정앞 시장(市場)
조선 때부터 동·서·남문 밖에도 특색 있는 장터 갖춰1930년대 상설시장 州城을 비롯 11개 노천시장 열려 제주도가 도 승격 50주년을 기념해 펴낸 사진집 '제주 100년'에는 제주의 과거와 현재를 반추할 수 있는 소중한 자료들이 …
강문규 기자 ㅣ 2009. 12.21. 00:00:00
['경술국치 100년' 제주 원풍경을 되살린다](20)노인성 굽어보던 서귀진성
1589년 이옥(李沃) 목사 때 홍로에서 이설하며 설촌 시작돼일제강점기 서귀항 개발하며 산남 대표하는 도시로 급성장서진노성·觀星臺·남성대 등 옛부터 장수 관련 이야기 무성 옛 서귀진성 터를 찾아 가던 지난 18일 아침 기상…
강문규 기자 ㅣ 2009. 11.30. 00:00:00
['경술국치 100년' 제주 원풍경을 되살린다](19) 해 뜨는 마을 성산리
일제강점기때 지리적 여건 영향 발전 기틀 마련'씨름대회사건'·주민 착취 따른 반일감정도 팽배 성산리는 제주섬에서 맨 처음 햇살을 맞는 마을이다. 동녁바다에서 불끈 솟아로른 해는 성산일출봉을 황금빛으로 채색한 뒤 …
강문규 기자 ㅣ 2009. 11.09. 00:00:00
['경술국치 100년' 제주 원풍경을 되살린다](18)제주시 화북 포구
1678년 최관목사 때 환풍정 등 鎭城 설치왜구의 침입 격퇴 위해 중무장 했던 요새 이형상(1653~1733) 목사가 남긴 '탐라순력도'는 1702년 그가 제주도를 한 바퀴 순력한 내용을 글과 그림으로 남긴 소중한 기록이다. 지금부터 약 300…
강문규 기자 ㅣ 2009. 10.19. 00:00:00
['경술국치 100년' 제주 원풍경을 되살린다](17)조천 만세운동
제주에 조국 독립과 항일정신을 함성으로 일깨웠던 곳한말~일제강점기 등 제주 근·현대사의 주요 인물 배출'방성칠난' 등 不義에 저항했던 정신 후손들에게 이어져 8월 20일 다시 조천리를 찾았다. '연북정'에 이어 조천만세운…
강문규 기자 ㅣ 2009. 09.21. 00:00:00
['경술국치 100년' 제주 원풍경을 되살린다](16)조천 연북정(戀北亭)
1509년 李沃목사가 朝天鎭 동성 위에 세워일제강점기 건물 고쳐 경찰 주재소로 사용설문대할망 '連陸의 전설' 깃든 엉장메도 말복을 이틀 앞둔 지난 12일 조천읍에 소재한 연북정(戀北亭)을 찾았다. 비가 잦은 여름인데 그날은 …
강문규 기자 ㅣ 2009. 08.17. 00:00:00
['경술국치 100년' 제주 원풍경을 되살린다](15)한림읍 명월리 '팽림월대'
일제강점기와 4·3 겪으며 점차 쇠퇴 전통문화와 얼 지키려던 자취 '뚜렷' 명월리(明月里)는 제주시 한림읍에 속한 마을이다. 겉으로는 제주의 여느 중산간 마을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이 마을이 간직한 오랜 역사와 옛 …
강문규 기자 ㅣ 2009. 08.03. 00:00:00
['경술국치 100년' 제주 원풍경을 되살린다](14)명월진성을 가다
부유한 백성·샘물 등 제주의 9진중 으뜸"복원사업 진척… 역사교육·보존" 다행 어느 곳이든 성에는 후세들이 기억해야 할 역사의 파편들이 묻혀 있다. 명월진성도 그런 곳이다. 명월진성은 한림읍 동명리에 위치해 있다. 남쪽…
강문규 기자 ㅣ 2009. 07.20. 00:00:00
['경술국치 100년' 제주 원풍경을 되살린다](13)애월진성을 가다
제주城 구조 연구에 소중한 유적 해안 매립으로 주변 풍경 바뀌어 애월진성(涯月鎭城)을 취재하기 위해 오랫만에 애월읍 애월리를 찾았다. 애월읍을 지날 때마다 '애월'이라는 지명이 어디에서 유래하는 지 궁금해 진다. 애월…
강문규 기자 ㅣ 2009. 07.06. 00:00:00
['경술국치 100년' 제주 원풍경을 되살린다](11)대정고을
대정읍성 1418년 축조된 뒤 계속 확장'역사의 상흔' 극복위한 지혜 발휘해야19세기 失火로 관아 소실… 복구 안돼 오월이 다 저물어가던 날 강창화 제주고고학연구소장, 강부언 화가와 함께 대정고을을 찾았다. 이곳은 지금 행…
강문규 기자 ㅣ 2009. 06.08. 00:00:00
['경술국치 100년' 제주 원풍경을 되살린다](9)정의현 읍성과 의두정
1423년 성산 古城里서 옮겨와1914년 제주군에 합병되며 폐지山亭·倚斗亭 등 한말전후 사라져 성읍민속마을은 해안마을인 서귀포시 표선면 표선리에서 한라산쪽으로 약 8km 올라간 곳에 위치해 있다. 1930년대 옛 정의현 읍성을 …
강문규 기자 ㅣ 2009. 04.27. 00:00:00
['경술국치 100년' 제주 원풍경을 되살린다](8)이아동헌(二衙東軒) 터
고려시대 설치된뒤 갑오경장때 폐지돼판관이 목사 대행… 애환서린 역사현장 간혹 20세기 전후 시기에 제주의 모습을 찍은 옛 사진을 만날 때가 있다. 제주시 관덕정과 그 주변은 쇠퇴하던 국운을 상징하듯 건물들은 낡고 거…
강문규 기자 ㅣ 2009. 04.13. 00:00:00
['경술국치 100년' 제주 원풍경을 되살린다](6)제주읍성의 돌하르방
읍성 수호신·종교·경계표시 기능 등 다양기원설 제각각… 아스카 석상 영향 추론도일제강점기 제주성 훼손으로 원자리 잃어 며칠전 한라일보는 작년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인 르 클레지오가 올해 프랑스판 지오(GEO) 3월호에 …
강문규 기자 ㅣ 2009. 03.16. 00:00:00
['경술국치 100년' 제주 원풍경을 되살린다](5)남문성과 옛 기록들
佛·日 여행기마다 주요 기록들 남겨성밖에는 약초와 숯 등 토산물 시장1925년 제주항 축항공사 때 사라져 제주시 오현단 남쪽에는 동서로 100여m 남짓 성채가 남아 있다. 이 곳을 보며 탐라국시대 이래 2000년간 제주섬의 핵심 치…
강문규 기자 ㅣ 2009. 03.02. 00:00:00
['경술국치 100년' 제주 원풍경을 되살린다](4)삼성혈·사직단·광양당
정조임금 '三姓祠'어필 편액 등 보내풍운뇌우단·사직단에서 수령이 치제광양왕, 제주의 穴 자른 호종단 단죄 불과 50여년 전만 해도 제주시 남문로터리를 따라 광양으로 이어지는 곳에는 드넓은 벌판이 펼쳐져 있었다. 해방 …
강문규 논설실장 기자 ㅣ 2009. 02.16. 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