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바다 1주일 일찍 고수온 특보… 양식장 비상

제주 바다 1주일 일찍 고수온 특보… 양식장 비상
제주도, 고수온 대응상황실 설치 피해 최소화 주력
지난해 도내 광어 221만마리 폐사 53억원 재산 피해
  • 입력 : 2025. 07.04(금) 15:03  수정 : 2025. 07. 07(월) 08:14
  • 이상민기자 hasm@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지역 양식장. 한라일보DB

연일 지속되는 폭염으로 영향으로 제주 연안 해역 수온이 예년보다 일찍 25℃까지 치솟으면서 도내 양식장에 비상이 걸렸다.

제주특별자치도는 3일 오후 4시를 기해 제주 연안해역에 고수온 예비특보가 발표되고, 폭염(고수온)재난 위기경보 '주의' 단계도 발령됨에 따라 고수온 대응상황실을 설치해 운영한다고 이날 밝혔다.

고수온 예비특보는 해역 수온이 25℃ 이상이거나 도달할 것으로 예상될 때 발효되며, 올해는 지난해(7월 11일)보다 1주일 이른 시점에 발표됐다.

고수온 대응 상황실 설치는 연일 지속되는 폭염과 수온 상승으로 인한 양식장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광어는 고수온에 취약한 어종으로 도내 양식장 대다수가 광어를 기르고 있다. 지난해 제주지역에선 고수온으로 인해 양식장 78곳에서 광어 221만 5000마리가 폐사해 54억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고수온 대응 상황실은 도 수산정책과장을 실장으로 ▷현장대응반 ▷수온분석·예찰반 ▷현장지원반 등 3개 반으로 구성됐다. 현장대응반은 제주시와 서귀포시 해양수산과가 주축이 돼 양식장 피해접수, 현장조사, 상황 보고 등을 수행한다. 수온분석·예찰반은 국립수산과학원 아열대수산연구소와 해양수산연구원이 참여해 수온 분석, 예찰 및 양식장 사육관리 현장 지도를 담당한다. 현장지원반은 제주어류양식수협과 수협중앙회가 참여해 현장 대응장비 지원, 폐사체 수거 및 재해보험 정보 공유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제주도는 특히 지난해 고수온으로 인한 막대한 피해를 입을 양식장들의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 수온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는 액화산소와 광어 면역을 높이는 면역증강제 등을 보급한 상태다. 이밖에 에밖입양식수산물 재해보험 가입한 어가의 부담을 덜기 위해 부담액의 60%를 지원하고 있다.

오상필 제주도 해양수산국장은 "지금이 고수온 대응의 골든타임인 만큼, 관계기관 간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더욱 공고히 해 현장 대응력을 강화하겠다"며 "양식어업인들도 사육밀도 및 사료공급 조절, 액화산소 공급 등 대응장비 점검과 예방조치에 철저를 기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상민기자 hasm@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1 개)
이         름 이   메   일
8314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돌고래 2025.07.04 (17:43:38)삭제
남방큰돌고래 '생태법인' 자격부여로 2공항 소송주체가 된다 ㅡ국회 행안위, '생태법인 도입' ㅡ제주특별법 개정안 상정 전문위 "생물종 '권리 주체' 인정 통해 자연 적극 보존"으로 2공항 행정소송 자격 있다 "남방큰돌고래" 서식지는 ..성산~표선 어간에 80여마리 서식한다 ㅡ성산바다엔 육상양식장와 성산 하수종말처리장이 있어..바다로 배출되는 고급먹이가 무한대로 산재해 있어..돌고래와 새떼.고기들에게 풍부한 먹이를 공급한다 ㅡ 2공항이 추진되면 1급보호종 돌고래가 2공항 소음피해와 바다로 유입되는 오물로 가장 큰피해를 본다 ㅡ돌고래를 다른곳으로 강제이주는 불가능 ㅡ국토부 상대로 소송 가능하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