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장
2021-12-04 11:56
강현윤 (Homepage : http://)
2021.12.04.hwp ( size : 26.50 KB / download : 3 )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첫 번재 장면. 저녁 산책길에 지나치게 되는 풍경이 있다. 공사가 마무리되어가는 도서관, 도로 옆 어른 키보다 높은 담장으로 경계를 짓고 나무와 꽃들로 구분을 해놓았다. 두 번째 장면. 어릴적 친구들이 담장 너머로 부르던 목소리, ‘해철아, 놀자’. 세 번째 장면. 이제 곧 볼 수 있을 풍경, 담장에 붙여진 선거 후보자들 각각의 포스터. 입술은 다물고 있으나 텍스트와 이미지로부터 생각보다 많은 것을 읽어낼 수 있다.
사전에서는 담장을 ‘집이나 일정한 공간을 둘러막기 위하여 흙, 돌, 벽돌 따위로 쌓아올린 것’이라고 정의한다. 경계와 구획이 목적이긴 하지만 폐쇄, 고립보다는 소통, 들어옴과 나감의 의미가 보다 적확할 것이다. 쌓아올린 돌 틈 사이로 바람이 드나드는 올레 담장부터 감히 그 안을 상상하기 힘든 철옹성의 담장까지, 나이 먹을수록 어렵기만 한 사람사이의 담장부터 죽을때까지 답을 찾는 과정일 생각의 담장까지.
서론에서 언급한 도서관의 답장은 개인적으로 아쉬운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어린이 도서관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더더욱 그러했을지 모르겠다. 건물 외벽을 통유리로 설계, 제작하여 시각적 효과와 도서관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부각시키려 했음에도 어른 키보다 높은 담장은 내외부의 흐름을 차단시켰다. 이용자의 안전 및 보호를 고려했을 수는 있으나 담장을 높이를 보다 낮추고 적색 벽돌의 노출보다는 벽화를 그려넣는 방법을 고민했다면 어땠을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2022년에는 두 개의 중요한 선거가 기다리고 있다. 대선과 지방선거. 특히 제주도는 대한민국의 대통령과 제주특별자치도의 도지사, 교육감, 도의원을 선출해야 한다. 벌써부터 여러모로 역대급(?) 선거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하긴 현재 선거를 준비하는 과정도 역대급(!)이긴 하다. 정당과 정당사이의 담장, 정당과 후보자사이의 담장, 후보자사이의 담장, 후보자와 유권자사이의 담장, 유권자사이의 담장. 필요한 것 중의 하나는 정당, 후보자에 대한 정책과 자질 검증의 담장은 높이고, 후보자와 유권자사이의 소통 담장은 낮추며, 유권자 자신의 선택에 대한 생각 담장은 관심과 비판, 실천을 확보하는 것이 아닐까 싶었다.
도서관의 담장이 작게 보일수도 있겠다. 하지만 대의민주주의 제도하에서 현재와 미래를 보장할 수많은 것들이 정치에 의해서 결정됨을 너무나도 잘 알고 있다. 그 중에서도 선거는 주권을 가진 시민으로써 행사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이고 직접적인 방법임을 인지하고 체험해왔다. 담장을 따라 걷다보면 길은 또 다른 길로 이어졌다. 어찌보면 가끔은 생각(사고)의 담장을 넘나드는 월담(실천)이 필요할 수도 있겠다.

제주시 이도이동 강현윤

No 제목 이름 날짜
3137 삭제 비밀글 삭제함 05-06
3136 자기만의 속도로 자라는 아동을 위한 '나답게크는아이지원사업' 실시  ×1 지역아동센터제주지원단 05-02
3135 공사장 화재예방 3가지만 실천하자  ×1 ×1 고길훈(서부소방서 안덕119센터) 05-02
3134 봉개동, 번영로 풀베기작업실시  ×1 봉개동 05-02
3133 제16회 설문대할망페스티벌 개최햄수다 하영옵서예  ×1 문병혁 05-02
3132 5월 10일은 바다에 미래를 심는 "바다식목일" 바다에 생명을  ×1 이해창 05-01
3131 5월 10일은 바다에 미래를 심는 "바다식목일" 바다에 생명을  ×1 이해창 05-01
3130 [기고] 야영장에서 흔적을 남기지 않고 떠나기  ×1 도 도시계획재생과 신유경 04-28
3129 생활 하수 처리 방법 홍보, 도민이 더욱 체감할 수 있는 효과적 방법 마련해…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4학년 강지훈 04-28
3128 곱을락'樂' 삼촌들 편안하우꽈~?  ×1 고경희 04-27
3127 일자리가 가져다준 행복  ×1 염옥란 04-26
3126 일상생활 사고 피해, ‘도민안전보험’으로 보상 받으세요  ×1 ×1 제주시 안전총괄과 김성수 04-26
3125 전쟁으로 주목받는 농업의 중요성  ×1 ×1 비밀글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김종우 교수 04-25
3124 개발,무관심에 사라지는 용천수제도 개선 필요  ×1 기봉 04-25
3123 삭제 비밀글 삭제 04-22
3122 소상공인의 든든한 퇴직금 노란우산공제에 가입하세요   ×1 문원영 04-21
3121 출력제어, 분산에너지 그리고 에너지 분권  ×1 ×1 오정헌 04-21
3120 4월 22일 자전거의 날 “자전거로 제주를 지켜요!” 소중한 지구를 지키는 …  ×1 강태욱 04-20
3119 대학의 위기, 제주의 위기  ×1 원고운,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04-18
3118 [기고] 확산이 끊이지 않는 불법광고물  ×1 ×1 오라동주민센터 김건 04-18
3117 코로나19시대, 힐링 제주는 산불예방으로 부터...  ×1 도 세계유산본부 비자림관리팀장 하성현 04-13
3116 지구의 날, 한 사람의 열 걸음보다 열 사람의 한 걸음부터  ×1 ×1 임지은,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04-12
3115 서귀포YWCA 달리는 건강 쿠킹버스 활용한 식생활개선 교육 시민대상 교육 참…  ×2 서귀포YWCA 04-11
3114 [기고]작은 불티도 다시 보자  ×1 ×1 남원119센터 오봉근 04-10
3113 고사리 꺾을 땐 함께가요  ×1 ×1 양희진 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