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페마스크의 발생에 따른 환경오염 해결 방안
2020-12-08 21:41
부소연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코로나19, 페마스크의 발생에 따른 환경오염 해결방안

오늘날 우리는 전 세계적으로 국가적 재난 상황 속에 처해있다. 2019년 12월 중국에서 최초로 발생하고 확산되어 현재까지 전 세계에서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19는 우리를 두려움 속으로 몰아넣고 있다. 코로나19가 두려운 이유는 단순히 인간들에게만 영향을 끼치는 것뿐만 아니라 우리가 살아가는 환경에까지 영향을 끼치고 있기 때문이다.코로나19가 확산된 후 우리의 삶은 달라졌다. 우리는 코로나19의 감염 예방을 위해 매일 마스크를 착용한다. 외출할 때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우리가 매일 마스크 1장을 소비하는 만큼 매일 버려지는 마스크의 양도 어마어마하다.국내에서 하루 평균 생산되는 마스크는 1,200만 장에 달한다. 중국에서는 하루 1억 1,600만 장을 생산하고, 프랑스에서는 수술용 마스크를 1주일에 400만 장에서 최대 800만 장까지 생산한다. 전 세계에서 매일 생산되는 마스크의 양을 따져보기만 해도 매일 버려지는 마스크의 양이 어마어마하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버려지는 마스크가 많아지는 만큼 이에 따른 환경오염의 우려가 커지고 있고 해결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며칠 전 유튜브에서 코로나 이후 버려지는 마스크를 재활용하는 것에 관한 영상을 보았다. 영상에는 한 학생이 나오는데 이 학생은 시간이 지날수록 버려지는 마스크의 양이 많아져 환경이 파괴되는 것을 보고 폐마스크를 재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많은 시행착오를 겪지만, 마침내 폐마스크의 자재를 분리한 후 열풍기로 뜨거운 바람을 쐬어 녹인 마스크를 활용하여 의자를 만드는 것에 성공한다.이 학생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이 환경오염을 해결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내고 그것을 실현하고자 할 것이다. 하지만 개인이 문제점을 인식한 후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더라도 실질적으로 무엇인가를 크게 변화시키기는 어렵고 그 과정 중에도 많은 어려움이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다.따라서 정부와 지자체 등 힘 있는 주체들은 개인과 함께 문제에 대하여 진지하게 고민하고 해결하려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예를 들어 병원이나 학교가 아니더라도 쉽게 마스크를 수거할 수 있도록 마스크 수거함을 설치하거나 마스크도 분리수거를 해야 한다는 정책을 도입하는 등 개인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중에 맞닥뜨리는 고민을 없앨 수 있는 적절한 지원이 필요하다.환경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찾을 수 있는 것은 특정 누군가가 아닌 오늘날을 살아가고 있는 우리 모두이다. 우리가 살아가는 데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모두가 함께 고민하고 노력해보는 것은 어떨까.


제주대 행정학과 2학년 부소연

No 제목 이름 날짜
4014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특별지원활동프로그램 '1분기 생일…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5-08
4013 혼자가 아닌 함께, 제주가치돌봄으로 따듯한 동행을 시작하세요  ×1 ×1 제주시 주민복지과 고수정 05-08
4012 자연재해는 막을 수 없지만,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1 장명서 05-07
4011 (기고)봄철 공사장 화재, 작은 주의가 큰 안전을 만든다.  ×1 구좌119센터 소방사 김한울 05-07
4010 구좌119센터, 구좌읍사무소에서 여름철 풍수해 대비 수방장비 교육 실시  ×1 구좌119센터 소방사 김경민 05-07
4009 2024년 사상 가장 더운 해, 해수면 온도 사상 최고치, 2025년에는 더 이상 좌시…  ×1 김제현 05-05
4008 제주 장애인 휠네비길, 모두를 위한 길이 되려면  ×1 김제현 05-05
4007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삼성드림클래스' 운영기관 선정  ×1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04-29
4006 - - 04-29
4005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지원협의회와 함께하는 진로 특강' 운영  ×1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04-29
4004 봄철, 안전한 산행을 위한 안전수칙  ×1 서귀포소방서 동홍119센터 문해민 04-29
4003 가정의 달 맞이‘청소년 주류 제공 주의보’  ×1 서귀포시 위생관리과 한정숙 04-29
4002 2025년 제주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 실무분과 민·관 협력 공동사업 시민건강… 제주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 04-28
4001 따뜻한 동행  ×1 윤매순 04-27
4000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청소년 자원봉사 기초교육’ 진…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4-25
3999 토양생태환경보전사업”에 주목해야  ×1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04-25
3998 토양생태환경보전사업”에 주목해야  ×1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04-25
3997 신재생에너지 포괄적 권한 이양과 관련하여  ×1 ×1 김정혁 04-25
3996 (기고)불법 소각, 그 감당 못할 책임에 경각심을  ×1 구좌여성의용소방대장 오춘미 04-24
3995 산불없는 제주를 위해 모두가 지켜주세요.  ×1 부재윤 04-22
3994 (기고) 한번에 뚝딱 완성되는 숲은 없다.  ×1 제주시 양은옥 04-22
3993 고사리철 이것만은 지켜주세요!  ×1 고기봉 04-18
3992 [기고] 자연재해! 준비는 지금! 풍수해·지진재해보험으로 안심하세요.  ×1 장명서 04-18
3991 보이지 않는 곳에서 청정 제주의 미래를 지키는 하수처리 이야기   ×1 상하수도본부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 04-17
3990 [기고] 청년농업인, 지속 가능한 농업의 미래를 여는 열쇠  ×1 ×1 오종훈 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