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私)를 이기고 공(公)을 세워야한다
2019-09-23 10:01
제주시 건축과 건축행정팀장 진영상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사(私)를 이기고 공(公)을 세워야한다」
유의는 홍주목사로 정약용은 금정역 찰방으로 있었을 때다.
정약용이 편지를 띄워 공적인 일을 의논하고자 하였으나 답신이 오지 않았다. 나중에 정약용이 홍주에 가서 만난 자리에서 “왜 답장을 하지 않았소?”라고 물어보자, 그는 “나는 수령으로 있을 때에는 원래 편지를 뜯어보지 않소”라고 대답하였다. 그리고는 시중을 드는 아이에게 편지함을 쏟으라고 명량하였는데, 조정의 귀인들이 보낸 모든 편지가 뜯기지 않은 상태였다. 정약용이 “그건 참으로 그럴 만하지만, 내 편지는 공무였는데 어찌 뜯어보지 않았소?”라고 묻자, 그는 “만일 공무였다면 왜 공문으로 보내지 않았소?”라고 대답하였다. 정약용이 “마침 그 것이 비밀리에 해야 할 일이었소”라고 하자, 그는 “그렇다면 왜 비밀히 공문을 보내지 않았소?”라고 하였다. 정약용은 거기에 대답할 말이 없었다. 그가 사사로운 청탁을 끊어버리는 것이 이와 같았다라고 목민심서에 소회하고 있다.

인·허가 업무를 하다보니 본의 아니게 지인으로부터 자주 부탁 전화를 받게 된다. 예를 들면 “금번에 내 친구가 집을 짓는데 상담하러 가면 잘 설명 해 달라”라는 부담없는 내용이라든가, “이번 허가 신청했는데 부지에 조그맣게 불법으로 건물을 지었는데 담당자가 그게 있으면 허가를 못 내준다고 현장에서 말하고 갔다. 직원에게 잘 말해서 넘어가면 안 되겠냐, 아무것도 아닌데 너무 까탈스럽다” 라고 하는 등 거북스러운 내용까지 다양하다. 이럴 때 필자는 “예 알겠다. 현장을 확인하고 말씀드리겠다”하고 그 상황을 일단 넘긴다, 담당자와 상의하고 담당자의 의견이 규정에 맞으면 담당자의 의견에 따른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사회 속에서 태어나 그 속에서 살다 죽을 수밖에는 없는 필연의 존재이다. 그래서 사회 속 인간관계가 중요하고, 그 속에서도 사적인 관계가 당사자에게는 가장 큰 의미일 수밖에 없다.
나에게 의미 있는 누군가가 어렵게 한 부탁을 거절하기는 너무 어려운 게 사실이다.

그러나 위 이야기처럼 유의라는 인물은 그런 관계를 단호의 거절하고, 그 마음의 표현으로 홍주목사 시절 사적으로 보내온 편지를 뜯어보지 않았다는 일화를 정약용은 소개한다.

정약용이 장황하게 자신의 경솔함과 유의의 단호함을 소개한 이유는 무엇일까?
공적업무의 엄중함이다. 사적관계를 중시하다보면 사회의 다수, 즉 공공의 다수에게 소홀해지고, 규정의 문란해지며, 그로인해 사회질서가 무너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개인에게는 경미한 위반사항일지 몰라도 사회전체의 질서를 위해서는 사(私)를 이기고 공(公)을 세워야하는 것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3936 전기자전거 구입 지원, 더 가까워진 녹색제주  ×1 오명수 01-20
3935 두 바퀴로 여는 제주의 푸른 미래  ×1 오명수 01-14
3934 [기고] 119구급대원 꿈을 위한 아라119센터 소방 실습을 마치며  ×1 제주한라대학교 응급구조과 한지원 01-10
3933 어른다운 어른이 되어야 한다 비밀글 김수현 01-09
3932 우리는 알게 모르게 유교(儒敎)적인 삶을 살고 있습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향교재단 01-07
3931 [기고] 효돈119센터에서의 실습을 마치며  ×1 박서현 01-07
3930 [기고] 불법현수막 없는 도시, 함께 만드는 깨끗한 미래  ×1 아라동 표세진주무관 01-07
3929 나의 꿈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된 이번 실습  ×1 현종민 01-07
3928 생명의 존귀함을 대하는 119 구급대원의 자세  ×1 ×1 고서현 01-06
3927 [기 고 ]전기자전거로 그리는 제주의 새로운 일상  ×1 오명수 01-06
3926 [기고] 구좌119센터 실습을 마치며  ×1 제주한라대학교 응급구조과 윤고은 01-03
3925 산분장: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장례 문화 비밀글 전윤경(농협경주교육원 교수) 01-03
3924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제주도본부,유진주간활동센터에 10년간 기부금 전달  ×1 김경민 12-27
3923 제주은행봉사단 보은의집 요양원 후원물품전달  ×1 박금희 12-24
3922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연말맞이 기념 마카롱 꾸미기’ …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12-23
3921 안전한 겨울나기. 작은 습관이 큰 안전을 만든다.  ×1 성산 12-23
3920 행복한 크리스마스에 가려진 환경의 실태  ×1 오가은 12-23
3919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우리 모두의 노력이 필요한 때  ×1 고기봉 12-22
3918 사라지는 제주 바다, 무너지는 해양 생태계, 남은 시간은 얼마나?  ×1 박환희 12-20
3917 사라져가는 계절을 체감할 수 있던 2024년  ×1 ×1 비밀글 고현준 12-20
3916 제주 uam의 실현가능성에 대하여  ×1 고동현 12-18
3915 제주의 자연자원, 우리의 미래를 지키는 책임  ×1 박지희 12-17
3914 [기고] 화목보일러 안전하게 사용하기  ×1 ×1 효돈119센터 소방사 임재윤 12-17
3913 (사)제주YWCA ‘문주란(간병사)클럽’ 제주대학교병원에 성인 기저귀 1200장 …  ×1 (사)제주YWCA 12-16
3912 (사)제주YWCA, ‘2024 2차 이사실무자 연수’ 진행 (사)제주YWCA 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