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해파리 쏘임 주의
2019-07-21 19:54
이도119센터 (Homepage : http://)
여름철 해파리 쏘임 주의(기고문).hwp ( size : 25.11 KB / download : 18 )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여름철 해파리 쏘임 주의

올여름 무더위가 일찍 찾아오면서 제주 바다에 해파리 떼가 기승을 부릴것으로 예상되고 이로인해 휴가철 피서객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우리나라에 나타나는 독성 해파리는 7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입방해파리, 작은 부레관 해파리, 유령 해파리, 노무라입깃 해파리, 커튼원양 해파리, 야광원양 해파리, 보름달물 해파리가 있다. 해파리는 많은 촉수를 가지고 있고 각 촉수에는 독소를 방출하는 침을 가진 자포가 있다. 해파리에 쏘이면 회초리를 맞은 듯한 발진과 통증, 가려움증 등이 나타난다. 처음에는 쏘인 부위에 물집이 잡히거나 헐고 진물이 나는 급성 반응이 나타나며 시간이 지나면 구역질, 구토, 설사, 복통 등이 생기기도 한다.
드물긴 하지만 해파리독으로 인해 호흡곤란 및 쇼크상태에 빠지는 전신반응이 올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지체하지 말고 119에 도움을 요청하고 병원에서 응급처치를 받아야 한다.
병원에서는 증상에 따라 진통제,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제 등으로 치료하며 세균 감염이 진행됐다면 항생제를 사용하여 치료한다. 해파리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긴팔 종류의 옷을 입는 것이 좋다. 특히 작은 크기의 해파리들이 옷 사이 들어가 쏘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몸에 달라 붙는 옷을 입는 것이 좋다. 해파리 중독에 눈, 코, 입 또한 위험에 노출 돼 있으므로 해수욕장에서는 마스크나 수경같이 외부 노출을 막는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노출을 최소화 하기 위해 목, 손목 등에 손수건이나 버프 등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해파리 중독 시 응급처치는 우선 바닷물에 나와 상처 부위를 바닷물로 세척하는 것이다. 이때 수돗물이나 알코올을 이용할 경우 삼투압 차이로 인해 자포가 터져 더욱 위험할 수 있다. 몸의 움직임을 최소화해 독소가 퍼지는 것이 막고 얼음팩 등을 이용하여 통증을 완화시켜야 한다. 증세가 심각하다면 빨리 119에 신고해야 한다.
바다에서 물놀이 중 해파리 출현 시 물놀이를 자제해야 하고, 바다에는 해파리뿐만 아니라 독성 생물이 많기 때문에 잘 알지 못하는 생물은 만지지 않는 것이 안전하며 해수욕장 안전요원의 안내를 잘 따른다면 즐거운 물놀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3893 기후감수성의 시대, 우리의 미래는 달라질 수 있다  ×1 김수민 12-04
3892 대설을 맞이하여, 겨울철 화재 예방 안전 수칙을 되새기고 안전한 겨울을 … 현주희 12-04
3891 12월 5일 자원봉사자의 날, 제주 환경을 지키는 작은 손길 김재원 12-03
3890 체육사에 빛나는 발자취, 김치부 선생과 위대한 도민  ×1 ×1 제주도청 전국체전기획단 김혜인 12-03
3889 환경을 생각하는 크리스마스, 지속 가능성을 더하다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부유민 12-03
3888 덕분에 리더십이 확산하길 기대하며  ×1 고기봉 12-03
3887 제주의 숨겨진 보물, 오름의 현실  ×1 오승민 12-02
3886 제주에서도 피할 수 없는 ‘기후위기’, 우리가 해결해야 할 때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4학년 현기명 12-01
3885 소중한 토양, 지구의 미래를 위한 우리의 책임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송유진 12-01
3884 [기고]당신의 배려가 생명을 구합니다.  ×1 ×1 효돈119센터 소방교 김선일 11-29
3883 안전한 화목보일러 사용, 따뜻한 겨울나기  ×1 구좌119센터 소방사 김한울 11-29
3882 ‘주택용 소방시설’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1 구좌119센터 소방교 전지훈 11-27
3881 472년을 산 80대의 행복   ×1 김계담 11-26
3880 차고지 증명제, 이제는 개선해야할 때!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부유민 11-25
3879 [기고] ‘불조심 강조의 달‘ 양돈장도 안전한 겨울 나기   ×1 한경119센터 소방사 강창희 11-25
3878 차고지 증명제 문제점에 대한 소견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11-24
3877 [기고] 겨울철 화재예방, 우리의 안전을 지키는 첫걸음  ×1 김성훈(제주소방서 119구조대) 11-24
3876 [기고]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 안전한 삶의 첫걸음  ×1 효돈119센터 소방장 오병철 11-23
3875 (사)제주YWCA, ‘2024세계평화의섬 실천을 위한 평화프로그램’ "공존과 상…  ×2 (사)제주YWCA 11-22
3874 제주도의 환경정책과 주민 삶의 질 향상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송시현 11-22
3873 말이 씨가 된다  ×1 제주개발공사 사회공헌팀 국정연 11-21
3872 (사)제주YWCA, ‘2024세계평화의섬 실천을 위한 평화프로그램’ -공존과 상생…  ×1 (사)제주YWCA 11-14
3871 동행합창단 작가의 산책길 공연  ×1 ×1 허희진 11-14
3870 일회용컵 보증금제도, 이대로 괜찮은가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문수아 11-13
3869 차고지 증명제, 이제는 개선해야할 때!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부유민 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