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觀] 눈을 보고 말해요

[영화觀] 눈을 보고 말해요
  • 입력 : 2023. 08.04(금) 00:00
  • 오소범 기자 sobom@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의 박보영.

[한라일보] '잉투기', '가려진 시간'에 이은 엄태화 감독의 3번째 장편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갑작스러운 대지진으로 세상에 홀로 남겨진 황궁 아파트 103동 주민들의 생존기를 담고 있는 재난 블록버스터다. 한국의 아파트라는 다층적인 의미를 품고 있는 공간의 안과 밖에서 펼쳐지는 이 이야기는 거대한 재난이 휩쓸고 간 뒤에 시작되는 리얼리티 드라마이자 삶이라는 명제 앞에 휘청이는 군중들의 블랙 코미디인 동시에 필연적으로 생존 앞에 한 치의 양보도 할 수 없는 욕망들이 충돌하는 전쟁 영화이기도 하다. 이처럼 복잡하고 격렬한 영화의 전개 속에서 극 중 인물들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 드라마틱한 변화를 겪는다. '나는 누구 여긴 어디 그리고 우리는 왜'라는 무수한 질문의 끝에 영화는 '우리는 누구이며 나는 어디에 있는지 그리고 우리는 다시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에 대해 힘주어 묻는다.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캐릭터들의 앙상블 연기만으로도 흡족한 작품이기도 하다. 이병헌과 박서준, 박보영, 김선영, 김도윤, 박지후 등 저마다의 개성과 무게를 함께 지닌 배우들의 합과 충돌을 보는 재미가 상당하다. 무엇보다 이 외딴섬의 독재자로 변모해 가는 배우 이병헌의 연기는 '콘크리트 유토피아'를 이끌고 가는 불온하고 매력적인 뱃머리가 된다. 그는 미스터리와 액션, 공포와 연민을 한꺼번에 품은 얼굴로 관객들의 머릿속을 헤집고 마음을 뒤흔든다. 실로 압도적인 체화의 연기다. 또한 배우 이병헌의 격렬하고 뜨거운 열기 앞에는 침착한 얼굴로 자신의 영토를 뺏기지 않으려는 배우 박보영이 있다. 번져오는 불 앞에 고여있는 샘 같은 박보영의 존재감 또한 대단히 깊은 잔상을 남긴다. 영화 속에서 가장 이상적인 이타주의자 명화 역할을 연기한 박보영은 자칫 기능적으로 해석될 수도 있을 명화 역할을 훌륭하게 소화해 내며 영화 안과 밖으로 자신의 영역을 확고히 한다.

박보영이 연기한 명화의 직업은 간호사다. 그는 이 비극적인 재난 상황 앞에서도 인간적인 면모를 잃지 않으려 애쓰는 인물인데 명화가 자신의 신념을 지키려 하는 모습은 다른 인물들이 자신의 생존을 사수하려는 모습과 미묘하게 어긋나며 영화에 또 다른 길을 낸다. 내가 사는 일 앞에서 타인의 삶이 무력화되는 것이 당연하게 여겨지는 지옥도의 입구에서 명화는 자신의 지도를 기어코 펴는 인물이다. 덜 먹고 더 나누며 수긍보다는 의문을 동력으로 그녀는 재난 이후를 살아낸다. 생존과 신념 사이에서 고요하게 휘몰아치는 자신의 변화를 침착하게 덮으려 하는 명화의 고군분투를 배우 박보영은 서두르지 않고 그려낸다. 내내 인간으로서의 품위를 유지하려 애쓰던 명화가 신념과 생존이 충돌하는 지점에서 일순간 폭주하는 순간은 영화 속 도화선 같던 명화의 감정들이 한데 모여 불타오르는 명장면이다. 나는 다양한 각도로 볼 수 있는 이 작품을 전쟁 영화 장르로 특히 흥미롭게 보았다. '전장의 나이팅게일'이기도 한 명화를 따라가며 재난 뒤의 전쟁이라는 더 큰 재난을 연약한 인간이 어떻게 맞닥뜨리고 겪어낼 수 있는지에 대해 스스로에게 물었다. 내가 지키고 싶은 것은 나라는 인간의 생존인지 나를 생존하게 만드는 나의 가치들인지. 내가 믿는 것들이 모두 사라진 뒤의 나는 과연 내가 믿는 나일 수 있는지.

배우 박보영은 흥행작인 '과속 스캔들'과 '너의 결혼식', 히트 드라마 '오 나의 귀신님'과 '힘센 여자 도봉순' 등을 통해 특유의 사랑스러운 생기와 자연스러운 연기력으로 대중들의 환호를 받아온 배우다. 이를테면 어디서든 무언가와 어딘가를 환하게 밝히며 긍정적인 에너지를 전해주던 박보영의 진가는 장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일 대 일 상황에 특히 강한 그는 상대역과 시선을 주고받는 순간 그 힘을 스크린 너머 관객들에게도 전달하는 배우다. 영화 '늑대소년'에서 박보영은 절박한 순간 앞에서 도망치지 않는 강인함으로 영화의 장르를 일순간 확장시켰다. 판타지와 멜러가 사이좋게 공존하던 영화 '늑대소년'은 박보영의 눈빛으로 끝내 잊지 못할 러브 스토리로 완성된 바 있다. '콘크리트 유토피아'에서도 마찬가지다. 장르가 허물어지는 경계선마다 박보영의 큰 두 눈은 상황과 감정을 예의주시한다. 이곳에서 살아남으려는 사람들 사이에서 더 먼 어딘가를 자꾸만 응시하는 박보영의 눈빛은 관객들에게도 지옥의 너머를 상상하게 만드는 힘이 있다. '콘크리트 유토피아'에서 그는 이전 작품들에서 선보여 온 말맛의 활력 대신 꿈틀거리는 감정의 소용돌이를 눈이라는 창 안에 응축한다. 그 눈동자에는 불길과 폐허 그리고 붕괴와 소멸 이후를 기어코 보고자 하는 파동까지 고스란히 담겨 있다.

<진명현 독립영화 스튜디오 무브먼트 대표(전문가)>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5857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