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규제 여파' 제주지역 아파트분양 전망 예측 불허

[한라일보] 대외 환경의 불확실성과 대출 규제 여파 등으로 제주지역 12월 아파트분양전망지수가 한 달 새 크게 악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제주 등 전국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12월 전국 평균 아파…

"대통령 퇴진" 제주대 대학생들 시국선언 잇따라

[한라일보] 비상계엄 선포·해제와 관련 5일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는 제주대학교 학생들의 시국선언과 성명 발표가 잇따랐다. 윤석열 퇴진 촉구 제주대학생 시국선언단은 5일 제주대 학생회관 앞에서 윤석열 대통령 …

김용현 "대통령 위임 받았다"며 '비상계엄' 실질적 지휘

[한라일보]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계엄군의 국회 진입 작전과 계엄사령관 임명, 위헌 논란이 빚어진 '포고령 1호' 발표까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주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김선호 국방부 차관(장관 직무대리)과 당시 계…

제주 버스 QR결제 데이터 외국인 관광객 이동 분석했더니…

[한라일보] 최근 3개월간 QR코드 결제로 제주 버스를 탄 외국인 관광객이 10만명을 넘어섰고, 이들 대부분은 숙소에서 관광지를 이동하는 교통수단으로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은 주로 제주버스터미널을 통해 성산일…

최재해 감사원·이창수 중앙지검장 탄핵안 국회 통과

더불어민주당이 발의한 최재해 감사원장에 대한탄핵소추안과 이창수 서울 중앙지검장 등 3명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5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에 따라 최 원장과 이 지검장 등은 국회에서 탄핵소추 의결서 송달 절차를 밟…

제주청년여성 월평균 임금 희망 vs 현실 '괴리감' 크다

[한라일보] 제주 청년여성의 취업시 희망 월급(2022년 기준)은 264만원이지만 실제 받는 월급은 215만원으로 49만원의 차이를 보였다. 반면 청년남성은 302만원을 희망했고, 실제 294만원을 받으면서 그 차이는 8만원에 불과했다. 희…

제주꿈바당어린이도서관 가는 길 넓어졌다

[한라일보] 옛 제주도지사 관사를 리모델링해 조성된 제주시 연동의 제주꿈바당어린이도서관 가는 길이 넓어졌다. 제주시는 그간 통행에 어려움을 겪었던 제주꿈바당어린이도서관 진입로 확장 사업을 마치고 이달 중순쯤 개통…

오영훈 제주지사 "윤 대통령 자진사퇴 가장 좋은 방법"

[한라일보] 오영훈 제주지사가 지난 3일 밤 갑작스럽게 이뤄진 이번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 윤석열 대통령의 자진 사퇴가 가장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오 지사는 5일 제주도청 집무실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지금 …

'비상계엄' 윤석열 탄핵 찬성 73.6%·반대 24.0% [리얼미터]

국민 10명 중 7명은 이번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윤석열 대통령 탄핵에 찬성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5일 발표됐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4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504명을대상으로 조사(95% 신뢰수준에…

추경호 "대통령 탄핵안, 108명 총의 모아 반드시 부결"

국민의힘 추경호 원내대표는 5일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발의와 관련해 "(여당) 의원 108명의 총의를 모아 반드시 부결시키겠다"고 밝혔다. 추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대…

'비상계엄 사태' 대통령 탄핵 촉구 불빛 제주서 켜졌다

[한라일보]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정국 이후로 8년 만에 현직 대통령 탄핵을 촉구하는 불빛이 제주에서 다시 켜졌다. 민주노총 제주본부, 진보당 제주도당, 정의당 제주도당 등 도내 21개 정당 및 시민단체 등으로 구성된 윤석…

2016년 이후 8년만에 대통령 탄핵 정국 재현되나

[한라일보]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3일 늦은 밤 비상계엄을 선포했다가 수 시간만에 해제하는 민주화 이후 초유의 계엄 사태가 발생한 것과 관련 야권은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을 추진, 향후 정치권에 격랑이 몰아칠 전망이다. …

[종합] 제주 사회단체·정가 '위헌·조기 퇴진' 한목소리

[한라일보] 제주사회 구성원들이 지난 3일 밤 기습적인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명백한 위헌 행위라고 강하게 비판하며 대통령의 조속한 퇴진을 촉구했다. 4일, 제주정가를 비롯해 사회·시민단체 등은 이번 사…

제주 주민등록인구 67만명도 위태위태

[한라일보] 제주지역 주민등록인구가 19개월 연속 감소하고 있다. 현재와 같은 출생아 수 감소와 인구 순유출 추세가 이어진다면 인구 67만명 지키기도 위태로울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4일 국가통계포털 분석 결과 11월 말 기준 …

상업 시설 탄소포인트 인센티브 '쏠쏠'… 서귀포시 가입 '폭증'

[한라일보] 제주 서귀포시 음식점, 도소매업 등 상업 시설의 탄소중립포인트제 가입이 크게 늘었다. 2022년 말과 비교하면 8배가량 증가했는데 서귀포시에서 일반 가구보다 인센티브가 높은 점을 집중 홍보한 결과라고 했다. 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