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삼다수와 떠나는 숨골탐방] (8·끝)외도초등학교

숨골에 빗물 유입 흔적 확인… 지하수 함양 과정 이해"화산 폭발시 떨어진 화산재에 따라 토양색 차이 발생""숨골 중요성 인식 계기… 체험 기회 더 확대해 달라" [한라일보]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밝은오름' 인근 목초지에 직…

[제주 삼다수와 떠나는 숨골 탐방] (7) 표선중학교 1학년

"오름은 작은 화산 분화구로 마그마가 나온 흔적…곶자왈은 토양이 부족해 농사가 어려워 숲이 된 곳""학생들에게 좋은 체험 기회… 너무나 소중한 시간" [한라일보] "제주도의 숨골을 이해하려면 먼저 제주도가 화산섬이라…

[제주 삼다수와 떠나는 숨골탐방] (6)세화초등학교 6학년 1반

성산읍 온평리 숨골 탐방하면서 제주 화산 지질 이해“숨골은 몇개나 되고, 새로 생기기도 하나?” 궁금증 질문청정 화산암반수로 만드는 제주삼다수 제조 과정도 견학 [한라일보] "제주에 숨골은 몇 개나 있나요?" "숨골은 새…

[제주 삼다수와 떠나는 숨골탐방] (5) 제주시 청소년수련관(아라청소년문화의집)

[한라일보] 빗물이 지하로 스며드는 통로 역할을 하는 '숨골'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먹는 물로 이용되는 지하수 등 환경 보전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시간이 마련됐다. 숨골 탐방에 참여한 학생들은 교과서적이지 않은, '숨겨진…

[제주 삼다수와 떠나는 숨골탐방] (4)오름중학교

[한라일보] 제주 중학생들이 빗물이 지하로 스며드는 통로 역할을 하는 '숨골'과 지하수의 역할을 상기하며 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환기하는 시간을 가졌다. 한라일보가 제주개발공사, 광동제약과 공동으로 마련한 '제주삼다수…

[제주 삼다수와 떠나는 숨골탐방] (3)동광초등학교 6학년 4반

학생들 한동리·온평리 소재 숨골 탐방하며 궁금증 쏟아내화산 폭발 후 굳어진 용암이 깨진 송이류 ‘클리커층’ 이해삼다수공장 견학하면서 제주지하수 형성과정도 설명 들어 [한라일보] 제주 초등학생들이 빗물이 지하로 스…

[제주 삼다수와 떠나는 숨골탐방] (2)함덕초등학교 6학년 1반

현무암 구멍 아닌 암반틈 사이로 빗물 빠져 땅속으로 들어가“숨골이 없으면 하천 생기고 홍수가 발생해 사람이 살 수 없어”수산·온평리 숨골에서 제주 지질 구조와 지하수 중요성 배워 [한라일보] "숨골은 어떻게 만들어졌…

[제주 삼다수와 떠나는 숨골 탐방] (1)동광초등학교 6학년 5반

한라일보, 10월 말까지 제주 분포 숨골 탐방 진행지난 24일 동광초등학교 대상 올해 첫 현장 학습한동·온평리서 숨골 형성과 지하수 중요성 확인 [한라일보] 한라일보는 이달부터 오는 10월 말까지 제주 지하수 함양에 중대한…

[제주의 숨겨진 환경자산 숨골의 비밀 Ⅱ] (11) 에필로그

[한라일보] 제주특별자치도 절대·상대 보전지역(2만1458.9437㎡)에 숨골 레이어(LAYER)로 분류된 303개 '숨골지형'에 대한 현장 탐사가 마무리됐다. 숨골레이어는 국토교통부 국립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수치지형도에 나온 지형…

[제주의 숨겨진 환경자산 숨골의 비밀 Ⅱ] (10) 표선·안덕·애월

표선, 임야·초지 빌레용암지대 함몰지 집중 분포애월, 목장지대 분지형 대형 숨골 곳곳에 산재안덕, 숨골지형 경작지 이용… 지하수 오염 노출 [한라일보] 제주특별자치도 절대·상대 보전지역에는 303개의 숨골 지형이 분포…

[제주의 숨겨진 환경자산 숨골의 비밀 Ⅱ] (9) 서귀포시 대정읍

숨골 23개 분포… 토양층 깊이 낮은 위험성 지역 내 존재대정읍 하모리 지하수 관정 질산성 질소 36.5mg/L 검출지역 평균 농도 5.7mg/L보다 7배 이상 높아 저감책 절실“무기질 사용량 감량·혼용시비 통한 시비 관리 개선” 주문 …

[제주의 숨겨진 환경자산 숨골의 비밀 Ⅱ] (8)제주시 한림읍

268개 양돈장 중 도내 최다 133개소 밀집… 숨골 지형 24개 분포지하수 오염원은 인간·동물 분뇨 등 동물성 유기물질이 주 원인현재 [한라일보] 지하수 질산염 수질 1990년대 이전 활동서 기인한 것 판단높은 질소 생산 앞으로 수년…

[제주의 숨겨진 환경자산 숨골의 비밀 Ⅱ] (7) 서귀포시 남원읍

도내 절·상대보전지역 내 303개 중 12개 분포다른 지역보다 많은 '천장창' 유형 숨골 관측빗물 일시에 지하로 유입돼 오염 취약한 구조도 하우스 면적의 26.4%… 지하수량 감소 우려 [한라일보] 제주도의 대표적인 감귤 주산지…

[제주의 숨겨진 환경자산 숨골의 비밀 Ⅱ] (6) 제주시 조천읍

'세계자연유산' 거문오름 14개·웃밤오름 주변 18개 분포수분함유 암괴들 일년내내 보온·보습 유지 식물성장 도움동백동산엔 숨골과 판형 용암위에 습지가 형성돼 '이채' [한라일보] 제주시 조천읍 지역에는 제주도 절대·상…

[제주의 숨겨진 환경자산 숨골의 비밀 Ⅱ] (5)제주시 한경면 숨골

주변 농경지·도로 침수피해 예방에 큰 도움 ‘긍정’오염물질 지하로 일시 유입시킬 통로 가능성 ‘우려’한경면 질산성질소 농도 동부지역 2배 이상에 주목절대·상대보전지역내 37개 숨골 분포, 곶자왈 집중 제주시 한경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