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찾아가는 독도해녀교실] (4)의귀초등학교

척박한 독도서 생계 유지·영토 수호 역할 책임진 제주 해녀애니메이션·강의·팝업북 등 다양한 매체 활용 눈높이 교육 [한라일보] "울릉도 동남쪽 뱃길 따라 200리. 외로운 섬 하나 새들의 고향." 지난 6일 의귀초등학교 6학년 …

[어린이를 도울 때 진정한 어른] (1)이홍연 (주)미래솔루션 대표이사

[한라일보] 반달 눈웃음이 매력적이어서 태양광 업계 미소천사라는 별명이 붙은 (주)미래솔루션 이홍연 대표이사는 아빠의 마음으로 아동들을 위한 기부에 앞장서고 있다. 한라일보와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이 공동기획한 '어린…

"직접 보고 듣고 느끼며 숲의 세계 배워요" [숲학교]

[한라일보] 연일 우리의 밤낮을 힘들게 했던 무더위도 이날만큼은 울창한 숲속에서 자취를 감췄다. 갑작스럽게 내린 빗줄기는 아이들의 얼굴에 맺힌 구슬땀을 씻겨내렸고, 나뭇잎과 꽃잎을 흠뻑 적시며 숲의 푸릇한 생기를 더…

[사람과 문화로 거리를 바꾸자 - 이중섭·솔동산거리 진단과 전망] (9)거리의 풍경을 만드는 사람들

[한라일보] "무료로 문인화 체험을 할 수 있어요. 안으로 들어가 보세요." 서귀포시 이중섭거리 옛 서귀포관광극장 앞 소품 가게 주인인 그는 주말 서귀포로 향한 관광객들에게 '작가의 산책길' 활성화 프로그램을 설명하고 있었…

[공동기획] 제주미래토크 (2) '떠나는 제주살이, 왜?'

[한라일보] 한때 제주에 광풍처럼 불었던 '이주 열풍'이 최근 몇 년 새 사그라지며 인구 유출로 이어지고 있다. 주요 원인은 부동산 가격 상승 등에 따른 주거비 부담을 비롯해 높은 물가와 양질의 일자리 부족 등 종합적인 문제…

[기획] 상장 지원으로 제주에서 날개를 달다 (1) 제농S&T

[한라일보] "2026년 3~4월쯤 최종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죠. 수년 동안 준비과정이 있었는데, 행정 차원의 상장기업 육성 지원사업이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대(代)를 잇는 제주 향토기업으로서 국내 주식시장 상장에 첫 도전…

[추석 특집] 추석 연휴 특별한 예술 산책, 마음을 채우고 여유를 품다

[한라일보] 여름의 막바지 열기와 가을의 서늘한 기운이 서서히 맞물리는 계절의 끝자락에, 추석이 찾아왔다. 자연도, 마음도 넉넉해지는 가을의 풍성함이 살며시 일상으로 스며드는 시기, 여기에 예술과 벗하며 마음을 채우는 …

[제주, 울음은 줄고 주름은 는다] (3)부산 지방소멸 위기 극복 방안

[한라일보] 부산광역시는 올해 저출생과 인구 소멸 극복을 위해 출생률 회복에 주력하고 있다. 합계출산율이 0.66명까지 떨어진 심각한 상황에서 시민 삶의 질 전반을 개선하고 관련 인프라를 대폭 확충하는 등 근본적인 처방에…

“‘외로움’ 사회적 처방 내리는 영국… 제주 공동체 실험 늘리자”[기획]

[한라일보]"(직업이 필라테스 강사인데) 수업이 너무 없으니까 누워 있는 시간이 좀 많았고 집 밖에 잘 안 나가게 되고… (수업이 없는) 낮에는 만날 사람도 없고 일을 구하기도 애매하고… 외롭고 마음이 힘드니까 그게 잘 안되…

[사람과 문화로 거리를 바꾸자 - 이중섭·솔동산거리 진단과 전망] (8)걷기 좋은 서귀포의 출발점으로

“도시 걷기는 몸속 간직된 주름”걸어야 비로소 보이는 골목골목문화유산·벽화 등 숨겨진 풍경제주도 3차 보행안전 기본계획안이중섭거리 보행자전용길 검토공감대 키워 도시의 경쟁력으로 [한라일보]서귀포칠십리시공원…

[제주, 울음은 줄고 주름은 는다] (2)소멸위기 부산의 현주소

부산 10명 중 2명 65세 이상… 초고령사회 심화평균 출생아 수 절반 수준 추락… 인구소멸 가속올해 전국 광역시 중 최초 ‘소멸위험단계’ 진입 [한라일보] 우리나라 제2의 도시인 부산광역시는 저출생과 고령화, 수도권으로의 …

[2024 찾아가는 독도해녀교실] (3)선흘초등학교

만리타향 독도서 활약한 제주해녀척박한 환경서도 끈질기게 살아가생계유지 넘어 독도 수호에 공헌귀향 후 기부 통해 나눔 정신 발휘 [한라일보] 1950년대 고향에서 715㎞ 떨어진 독도까지 나가 물질을 했던 독도 출향해녀들은 …

[공동기획] 제주미래토크 (1)제주지역 인구변화와 지방소멸 위기

[한라일보] 제주에서도 인구 감소로 인한 지방소멸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중앙정부 차원의 저출생 대책은 한계를 보이고 제주 청년들의 이탈 현상도 계속되고 있다. 보다 적극적인 '청년 정책'으로 위기를 넘어야 한다는 목소…

끼니 거르고 대충 때우고… “건강한 식사 경험 늘려야”[기획]

혼자선 소홀하기 쉬운 '식생활'배달음식·가공식품 섭취도 잦아불규칙한 식생활에 건강 적신호지원 고민하는 지자체… 제주는? [한라일보] "요즘엔 1인가구를 위해 적은 양으로 포장된 음식 재료도 많이 팔지만, 유통기한 내에 …

[제주, 울음은 줄고 주름은 는다] (1)제주도 저출산·고령화 실태

[한라일보] 한국사회는 저출산과 고령화라는 심각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제주 지역도 예외는 아니다. 출생아 수는 감소하고 있고 노인인구는 늘고 있다. 제주 유입인구는 2016년 정점을 찍은 후 지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어 지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