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감귤원 간벌과 품질관리가 중요하다
2022-03-17 11:03
|
||||
---|---|---|---|---|
강준형 (Homepage : http://)
|
||||
농산물 시장개방 확대, 소비패턴 변화, 농산물 시장환경이 녹록지 않은 상황에도 감귤산업의 경쟁력을 지키고 감귤 조수입 1조 원을 바라보는 것은 감귤정책에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농가들이 있기에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제주특별자치도는 감귤의 경쟁력 강화와 맛있는 감귤을 생산하기 위한경제과원 조성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감귤원 1/2 간벌사업은 고품질 감귤 생산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사업으로 2003년부터 지난해까지 14,543ha의 면적에 대하여 간벌을 추진하였다. 감귤원 1/2간벌은 밀식된 감귤나무를 줄 단위로 간벌함으로써 수세를 안정시키고, 햇빛을 고루 받을 수 있어 고당도 감귤 생산이 가능하며, 작업로가 충분히 확보되어 병해충 방제 및 감귤 수확 시간이 단축되는 등 농작업 편리성 등이 효과가 있다. 또한, 소비자가 선호하는 맛있는 감귤 생산으로 과잉생산을 방지하고, 주 출하시기 원활한 유통처리가 가능하여 농가의 소득으로 이어지고 있다. 올해는 감귤 해거리 현상으로 감귤생산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주 수출국인 러시아 감귤 수출 전망이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감귤 농가에서는 지속되는 감귤 가격 호조세로 간벌을 하면 손해라는 인식과 무임승차하려는 농가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럴 때일수록 감귤 농가들은 지난 과거의 위기를 극복했던 것처럼 |
|
[종합] 제주 기획조정실장 양기철·서귀포 부시장 김원칠
제주농협, 신사옥 옆 주차장 15일부터 주민 개방
[2025 제주도교육청 학생기자단] 노형중, 감정과 생각을 여는 …
‘작별하지 않는다’ 표선 한모살 4·3학살터 표지석 어디로
제주 어르신 '기초질서 지킴이' 활약상 빛났다
[양병우의 문연路에서] 삼나무, 천덕꾸러기 취급되어서는 안…
구좌농협 송철주·오복민 부부, 7월 '이달의 새농민상'
'원거리 출어' 제주 갈치 위판량·위판액 모두 늘었다
제주서 렌터카로 고의 사고… 보험금 편취 일당 덜미
[양건의 문화광장] 호암 양창보, ‘바람의 섬과 붓끝 사이’ …
"증거인멸 우려" 윤석열 전 대통령 4개월만에 재…
[해설] 제주도 2025년 하반기 정기인사 배경은…
제주 스노쿨링 하던 40대 관광객 물에 빠져
김창숙 부띠끄 여성의류 기탁
[알림] 스타강사와 함께하는 JDC 톡톡튀는 교육특…
[강연실의 목요담론] 지역화폐와 착한소비, 제주…
[열린마당] 저출산, 미래를 위한 우리의 담대한 …
[열린마당] 외국인 범죄 예방은 우리 모두의 책…
[김용성의 한라시론] ‘사람 존중’ 자녀 인성 …
[사설] 중소기업 고용시장 활로가 보이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