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자연재해 피해는 풍수해보험으로 보상받자
2019-10-29 18:20
강인규 (Homepage : http://)
지구의 온난화가 자연재해 발생빈도를 높이고 재난환경의 급속한 변화를 주고 있다. 근래 들어서 잦은 태풍과 집중호우, 폭설과 지진으로 피해를 당한 지역주민들은 일상생활에서 실의와 경악을 느끼고 있다. 우리는 여기에서 예기치 못한 풍수해나 지진 재해로 피해를 입게 될 때 풍수해보험에 가입 했더라면 하는 안타까움이 앞선다.

풍수해보험은 주택과 온실(비닐하우스 포함), 상가나 공장을 가입대상으로 태풍, 호우, 강풍, 풍랑, 대설, 지진 등 자연재해로 발생한 재산적 피해를 보상한다. 정부가 보험료의 절반 이상을 지원하고 가입자는 보험료의 절반이하로 부담하여 저렴한 보험료로 풍수해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다. 적은 돈으로 많은 보상을 받을 수가 있다면 가성비가 좋은 보험인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실상은 다르다. 정부에서 지원되는 저렴한 보험료로 상당한 보상금을 받을 수 있지만 1년 이내에 납입한 보험료가 소멸되고 의무보험이 아니기 때문에 별다른 경각심을 느끼지 않는다.

풍수해보험은 2006년부터 생겨 점점 대상이나 지원 범위가 개선되어 왔다. 가입은 보험사에 개별적으로 가입하거나 관할 지자체에서 단체 가입할 수 있다. 현재 삼성화재, 현대해상, KB손해보험, DB손해보험, NH농협손해보험이 풍수해보험을 판매하고 있다. 이 보험은 보험계약일 기준으로 이미 진행중인 자연재해에 의한 손해는 보상하지 않는다.

또한, 풍수해보험은 농작물재해보험이나 주택화재보험 등 다른 자연재해 보험과 중복 보상을 받을 수가 없다. 정부나 지자체에서 적극적으로 가입을 독려하고 있지만 최근 5년간 연평균 가입률은 13.2% 정도에 그치고 있다. 미국이나 일본처럼 풍수해가 많은 나라인 경우에도 그 가입률은 20~30%대 수준이다. 우리 모두가 다가올 자연재해에 대비해서 풍수해보험을 미리 가입하고 보상을 받도록 하자.

No 제목 이름 날짜
3939 (사)제주YWCA, 창립 70주년 기념식 성황리에 마무리  ×1 (사)제주YWCA 01-21
3938 <플라스틱의 딜레마, 우리는 어떻게?>  ×1 제주개발공사 품질관리팀 이정헌 01-21
3937 즐거운 겨울철 산행을 위한 팁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1-21
3936 전기자전거 구입 지원, 더 가까워진 녹색제주  ×1 오명수 01-20
3935 두 바퀴로 여는 제주의 푸른 미래  ×1 오명수 01-14
3934 [기고] 119구급대원 꿈을 위한 아라119센터 소방 실습을 마치며  ×1 제주한라대학교 응급구조과 한지원 01-10
3933 어른다운 어른이 되어야 한다 비밀글 김수현 01-09
3932 우리는 알게 모르게 유교(儒敎)적인 삶을 살고 있습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향교재단 01-07
3931 [기고] 효돈119센터에서의 실습을 마치며  ×1 박서현 01-07
3930 [기고] 불법현수막 없는 도시, 함께 만드는 깨끗한 미래  ×1 아라동 표세진주무관 01-07
3929 나의 꿈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된 이번 실습  ×1 현종민 01-07
3928 생명의 존귀함을 대하는 119 구급대원의 자세  ×1 ×1 고서현 01-06
3927 [기 고 ]전기자전거로 그리는 제주의 새로운 일상  ×1 오명수 01-06
3926 [기고] 구좌119센터 실습을 마치며  ×1 제주한라대학교 응급구조과 윤고은 01-03
3925 산분장: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장례 문화 비밀글 전윤경(농협경주교육원 교수) 01-03
3924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제주도본부,유진주간활동센터에 10년간 기부금 전달  ×1 김경민 12-27
3923 제주은행봉사단 보은의집 요양원 후원물품전달  ×1 박금희 12-24
3922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연말맞이 기념 마카롱 꾸미기’ …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12-23
3921 안전한 겨울나기. 작은 습관이 큰 안전을 만든다.  ×1 성산 12-23
3920 행복한 크리스마스에 가려진 환경의 실태  ×1 오가은 12-23
3919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우리 모두의 노력이 필요한 때  ×1 고기봉 12-22
3918 사라지는 제주 바다, 무너지는 해양 생태계, 남은 시간은 얼마나?  ×1 박환희 12-20
3917 사라져가는 계절을 체감할 수 있던 2024년  ×1 ×1 비밀글 고현준 12-20
3916 제주 uam의 실현가능성에 대하여  ×1 고동현 12-18
3915 제주의 자연자원, 우리의 미래를 지키는 책임  ×1 박지희 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