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형 간염!! 쉽게 실천하는 개인 수칙으로 예방 가능하다.
2019-05-15 11:25
제주감염병관리지원단장 배종면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보기
A형 간염!! 쉽게 실천하는 개인 수칙으로 예방 가능하다.

제주감염병관리지원단장 배종면

최근 전국적으로 A형 간염 발생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 통계자료에 따르면 올해 5월 4일까지 전국적으로 4,200건 이상의 A형간염 신고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이미 작년 한 해 동안 신고 되었던 2,436건을 초과하였다. 제주도민에 있어서도 총 16건이 발생하여, 전년도 같은 기간 신고 된 3건에 비해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그런데, 최근 발생사례의 연령층의 대부분이 면역이 떨어지는 영유아나 노인이 아니라, 30~40대 성인인 점이 특이하다. 이는 1970~80년을 지나면서 경제적 발전에 힘입어 위생 환경이 크게 개선되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그 이전에 위생 상태가 좋지 않았던 상황에서 아동기를 보냈던 세대들은 대부분 가볍게 A형간염을 앓고 지나가면서 평생 지속되는 항체를 갖게 되었다. 그러나 위생 및 생활 환경이 개선되면서 소아기에 A형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될 기회가 없으면서 항체를 형성하지 못한 현재의 30~40대가 A형 간염 바이러스의 취약 계층이 된 것이다.

이처럼, A형 간염 바이러스는 식품이나 식수로 입을 통해 체내에 들어오며, 아동기에 감염이 될 경우 거의 대부분 후유증이 없이 나으면서 평생면역력을 갖게 된다. 따라서 A형 간염을 예방하려면, 우선적으로 예방접종으로 평생 면역력을 확보하고, 평소 개인위생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A형간염의 예방접종은 6~12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하며, 12~23개월의 모든 소아는 필수적으로 백신 접종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만 12세 이하 어린이는 보건소와 일부 의료기관에서 무료 접종이 시행되고 있다. 또한 면역력이 없는 청소년이나 성인 중 간 질환자, A형간염 환자의 접촉자, A형간염 유행지역 장기여행자, 직업 상 바이러스 감염 위험이 높은 실험실 종사자, 의료인, 요식업 종사자, 군인 등도 백신 접종이 권장된다. 현 시점에서는 도민 중 30-40대 연령층에서 A형 간염바이러스 항체 검사를 한 다음, 음성이 나오면 예방접종을 적극 권장한다. A형간염은 성인에 발생할수록 대부분의 합병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고 중증도가 심해서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올바른 개인위생 수칙은 수인성 및 식품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한 것과 동일하다. 즉 외출 후, 용변 후, 조리 전, 식사 전 등 일상생활 속에서 수시로 비누 또는 손세정제를 이용하여 30초 이상 손을 씻는다. 물은 끓여서 마시며, 음식은 날 것을 피하고 깨끗하게 세척하여 85℃ 이상의 충분한 온도에서 익혀서 안전하게 섭취하도록 한다. 음식 조리 시 칼, 도마 등 조리도구는 채소용, 고기용, 생선용으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사용 후엔 소독하여 보관하여 청결한 조리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상을 요약하자면, A형 간염의 예방법은 사전에 예방백신을 접종하고 올바른 개인위생수칙을 실천하여 감염을 차단하는 것이다. 이것만으로 A형 간염의 유행을 종식시킬 수 있을 것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4018 (사)제주YWCA, '2025 소비자식품안전 정보교육' 진행  ×1 사단법인제주와이더블유씨에이 05-15
4017 하늘과 땅을 잇는 생명의 제주 용천수  ×1 김은신 05-12
4016 도노인복지관 산불 구호 성금 기탁 제주특별자치도노인복지관 05-12
4015 가정의 달, 가족의 가치를 다시 볼 시간  ×1 강지상 05-09
4014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특별지원활동프로그램 '1분기 생일…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5-08
4013 혼자가 아닌 함께, 제주가치돌봄으로 따듯한 동행을 시작하세요  ×1 ×1 제주시 주민복지과 고수정 05-08
4012 자연재해는 막을 수 없지만,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1 장명서 05-07
4011 (기고)봄철 공사장 화재, 작은 주의가 큰 안전을 만든다.  ×1 구좌119센터 소방사 김한울 05-07
4010 구좌119센터, 구좌읍사무소에서 여름철 풍수해 대비 수방장비 교육 실시  ×1 구좌119센터 소방사 김경민 05-07
4009 2024년 사상 가장 더운 해, 해수면 온도 사상 최고치, 2025년에는 더 이상 좌시…  ×1 김제현 05-05
4008 제주 장애인 휠네비길, 모두를 위한 길이 되려면  ×1 김제현 05-05
4007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삼성드림클래스' 운영기관 선정  ×1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04-29
4006 - - 04-29
4005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지원협의회와 함께하는 진로 특강' 운영  ×1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04-29
4004 봄철, 안전한 산행을 위한 안전수칙  ×1 서귀포소방서 동홍119센터 문해민 04-29
4003 가정의 달 맞이‘청소년 주류 제공 주의보’  ×1 서귀포시 위생관리과 한정숙 04-29
4002 2025년 제주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 실무분과 민·관 협력 공동사업 시민건강… 제주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 04-28
4001 따뜻한 동행  ×1 윤매순 04-27
4000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청소년 자원봉사 기초교육’ 진…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4-25
3999 토양생태환경보전사업”에 주목해야  ×1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04-25
3998 토양생태환경보전사업”에 주목해야  ×1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04-25
3997 신재생에너지 포괄적 권한 이양과 관련하여  ×1 ×1 김정혁 04-25
3996 (기고)불법 소각, 그 감당 못할 책임에 경각심을  ×1 구좌여성의용소방대장 오춘미 04-24
3995 산불없는 제주를 위해 모두가 지켜주세요.  ×1 부재윤 04-22
3994 (기고) 한번에 뚝딱 완성되는 숲은 없다.  ×1 제주시 양은옥 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