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공무원의 도시문제에 대한 소고
2017-12-24 21:38
|
|||
---|---|---|---|
현명철 (Homepage : http://)
|
|||
제주의 도시모습은 어떠한가. 도시 곳곳에서 볼 수 있는 불법광고물들에서 최근 이슈를 찾을 수 있다. 제주도는 전국적으로 부동산값이 가장 많이 오르는 곳 중의 하나로서 최근 몇 년간 많은 개발들이 이뤄지고 있다. 이는 위협으로 혹은 기회로도 볼 수 있지만 도시의 관점에서는 비관적인 상황이다. 제주도의 지역성과 역사성으로 이뤄져야 할 도시가 자본의 물결을 타고 이윤만을 목표로 하는, 문화와 역사가 없는 건물들이 생길 가능성 때문이다. 도시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조화로움이다. 가능한 한 어떠한 주체도 소외받지 않고, 한 특정부류의 과도한 표현이 아닌, 고루고루 표현할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한다. 누구나 창밖의 바다와 햇살을 보며 잠에서 깨어나고 싶고, 싼 땅에서 큰 규모로 형질변경을 하여 이익을 실현하고 싶다. 하지만 이러한 마음과 대조적으로 경관의 사유화는 지역민의 경관침해로 이뤄지고, 도시의 무질서한 팽창에는 항상 자연환경의 파괴와 투기욕심으로 몰리게 된다. 이에 대한 피해는 고스란히 도민과 후대들이 짊어지고 간다. 우리 모두의 자산인 제주도를 아끼고 지속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좀 더 도민들의 관심과 합의가 필요하다. 저도 제주의 미래비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여 관찰하고, 듣고, 공부하겠다. 각자의 욕망의 표현과 충돌, 합의를 통해 우리 제주도는 제주다운 도시로서 성장할 것이고, 나아가 지역성이 담긴 국제적인 도시로 거듭나길 간절히 바란다. 서귀포시청 도시과 현명철 |
|
[종합] 제주 기획조정실장 양기철·서귀포 부시장 김원칠
제주농협, 신사옥 옆 주차장 15일부터 주민 개방
[2025 제주도교육청 학생기자단] 노형중, 감정과 생각을 여는 …
‘작별하지 않는다’ 표선 한모살 4·3학살터 표지석 어디로
제주 어르신 '기초질서 지킴이' 활약상 빛났다
[양병우의 문연路에서] 삼나무, 천덕꾸러기 취급되어서는 안…
구좌농협 송철주·오복민 부부, 7월 '이달의 새농민상'
'원거리 출어' 제주 갈치 위판량·위판액 모두 늘었다
제주서 렌터카로 고의 사고… 보험금 편취 일당 덜미
[양건의 문화광장] 호암 양창보, ‘바람의 섬과 붓끝 사이’ …
"증거인멸 우려" 윤석열 전 대통령 4개월만에 재…
[해설] 제주도 2025년 하반기 정기인사 배경은…
제주 스노쿨링 하던 40대 관광객 물에 빠져
김창숙 부띠끄 여성의류 기탁
[알림] 스타강사와 함께하는 JDC 톡톡튀는 교육특…
[강연실의 목요담론] 지역화폐와 착한소비, 제주…
[열린마당] 저출산, 미래를 위한 우리의 담대한 …
[열린마당] 외국인 범죄 예방은 우리 모두의 책…
[김용성의 한라시론] ‘사람 존중’ 자녀 인성 …
[사설] 중소기업 고용시장 활로가 보이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