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건물에 묶인 제주교육청 데이터센터, '안정성 빨간불'

노후 건물에 묶인 제주교육청 데이터센터, '안정성 빨간불'
행안부 점검서 40% 미충족 판정…2030년 신축 목표 이전 추진
  • 입력 : 2025. 10.09(목) 15:17  수정 : 2025. 10. 10(금) 17:26
  • 김채현기자 hakch@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도교육청 전경. 한라일보 DB

[한라일보] 제주도교육청의 핵심 정보 인프라를 관리하는 데이터센터가 노후화된 건물에 위치해 정부가 정한 운영시설 안정성 기준의 약 40%를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9일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에 따르면 현 데이터센터는 1982년 준공된 제주시 오라동 옛 북제주교육청 건물(지하 1층·지상 3층·전체면적 1008㎡) 1층에 구축돼 있다. 본래 도교육청 본청 4층에 있던 시설을 2008년 리모델링을 거쳐 이곳으로 옮겼다.

현재 1층에는 시스템실, 무정전전원장치(UPS)·축전지실·비상발전기실이, 2층은 사무실로 사용되고 있다. 3층은 비어 있는 상태다.

문제는 건물 노후화로 인해 시설 전반의 안정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점이다. 우선 핵심 장비가 설치된 1층의 내벽이 내화(耐火)벽이 아니고, 축전실 내 UPS와 축전지가 내화벽으로 분리되지 않아 화재 위험이 높은 것으로 지적됐다. 또 시스템실 내 서버랙 상단과 천장 사이 간격이 정부 권장 기준(2m 이상)에 한참 못 미치는 50㎝ 이하로, 항온·항습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전력 공급 체계도 불안정하다. 한전 전원의 이중화나 백업 변압기, 비상 전원 발전기의 이중화가 모두 되어 있지 않으며, 건물 구조상 추가 설치도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외부 침입을 막기 위한 출입통제, 검색대, 차량 통제 설비 등 물리적 보안장비도 갖춰져 있지 않다.

이 같은 문제로 지난해 9월 행정안전부 점검에서 정보시스템 운영시설 안정성 기준 67개 항목 가운데 40.3%가 '미충족' 판정을 받았다. 도교육청은 현 건물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기준을 충족하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

이에 도교육청은 데이터센터 이전·신축을 위한 중장기 계획을 추진 중이다. 내년에 연구용역을 실시해 부지와 사업 규모를 확정한 뒤, 2028년 착공해 2030년 개관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만 수백억 원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업비 확보가 최대 관건이다. 지난해 타 시도교육청의 데이터센터 이전 용역에서는 약 200억 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됐으며, 최근 기술 발전 등을 감안하면 비용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현재 건물은 하중 문제 등으로 인해 추가 장비 설치나 리모델링 공사가 어렵다"며 "데이터센터 이전 추진이 사실상 유일한 대안"이라고 말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189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