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항일운동가 '공적 발굴·서훈' 서둘러야

[사설] 항일운동가 '공적 발굴·서훈' 서둘러야
  • 입력 : 2023. 03.02(목) 00:00
  • 한라일보 기자 hl@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한라일보] 어제는 제104주년 3·1절이었다. 3·1운동은 일제의 강압적인 식민지배에 대한 민족의 저항이자 대한민국의 건립을 알리는 운동이었다.

제주에서도 항일운동은 노도같이 번졌고 그 중심에는 제주해녀 항일운동이 있었다. 1931년 6월부터 1932년 1월까지 연인원 1만7130명이 참여했다. 집회 및 시위 횟수가 238회에 달하는 대규모 항일운동이었다. 해녀들뿐 아니라 청년과 일반 농민층도 가담하여 일제의 식민지 수탈정책에 적극적으로 투쟁했다. 국내 최대의 여성 주도 항일투쟁이자 집단적 어민봉기라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가 크다.

일제의 생존권 수탈에 항거한 해녀항일운동은 5명의 해녀 대표가 주도했다. 주역 가운데 부춘화·김옥련·부덕량 3명의 해녀는 유공을 인정받아 독립유공자로 선정됐다. 하지만 고차동·김계석 해녀는 당시 수형기록이 없다는 이유로 번번이 서훈 대상에서 제외됐다. 2018년 광복절 경축식 당시 문재인 대통령이 5명의 해녀항일운동 대표를 모두 언급했는데도 서훈받지 못했다. 제주지역 항일운동가는 505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현재까지 201명이 독립유공자로 인정됐다. 고차동·김계석 해녀 등을 포함해 나머지 304명에 대한 서훈은 미완으로 남아있다.

항일운동에 앞장섰던 유공자들에 대한 공적 발굴과 서훈은 지체할 수 없다. 유공자 후손들이 사망하거나 고령화로 항일활동 공적을 규명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유공자에 대한 처우 개선도 뒤따라야 한다. 유공자 후손들의 생계에 보탬이 될 수 있도록 보상금이나 보훈수당을 현실화해야 한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7228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