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YTN 방송 캡처
춥고 건조한 겨울 날씨가 지속되면서 건선 질환의 원인과 증상, 예방법에 누리꾼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건선’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인원은 2009년 15만5995명에서 2013년 16만3707명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1.2% 증가했다.
2013년 기준으로 남성이 전체 진료인원의 57.7%(9만4478명)으로 여성보다 1.3배 더 많으며, 최근 5년간 진료인원의 연평균 증가율 또한 남성이 여성에 비해 2배 더 높았다.
월별 건강보험 진료인원 변화를 살펴보면, 3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5월에 가장 많고 9월에 가장 적었으며, 진료인원 수가 가장 많은 달이 4만825명으로 가장 적은 달(3만2721명)에 비해 1.2배 더 많았다.
연령별로는 30대 이후 중·장년층이 전체 진료인원의 절반 이상으로 2009년에는 57.7%, 2013년에는 58.8%를 차지했으며, 대부분의 환자가 20세 이상 성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건선으로 인한 진료인원 수는 남성이 371명으로 여성보다 1.3배 더 많으며, 이러한 성별의 차이는 40대 이후 나타나기 시작하여 70대 이후 노년층에서 남성이 여성의 2배 이상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선은 피부에 작은 좁쌀 같은 발진이 생기면서 발진된 부위 위에 각질이 겹겹이 쌓여 나타나는 만성 피부병이다. 좁쌀 같은 발진은 주위에서 발생한 새로운 발진과 서로 뭉쳐지거나 커지면서 주위로 퍼져 나가며 악화와 호전이 반복된다.
건선의 원인은 아직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유전적 요인, 환경적 유발요인, 면역학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전적 요인은 개인의 생활과 환경적 요인이 유발인자로 작용하고, 면학학적 요인은 각질형성세포의 증식과 염증반응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건선의 악화 또는 유발요인으로는 피부외상, 감염, 겨울 같은 차고 건조한 기후, 건조한 피부, 스트레스, 약물 등이 있다.
건선이 진행될 동안 발진이 많이 퍼지는 경우에는 전신 피부가 발진으로 덮이기도 한다. 때로는 저절로 조금씩 좋아지기도 하나 반대로 전신으로 퍼지는 경우도 많다. 습진과 같은 다른 피부병에 비해 가려움증은 그렇게 심하지 않다. 보통 무릎과 팔꿈치에 가장 많이 생기며 다음으로 엉덩이나 머리에도 흔히 나타난다.
치료는 보통 약물과 연고, 자외선 등을 복합적으로 이용해 진행된다.
건선환자는 상처부위에 또 다른 발진이 생길 수 있으므로 피부 손상을 입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특히 요즘처럼 날씨가 건조하거나 일조량이 줄면 증상이 악화 되는 경우가 많으며 치료를 제대로 받지 않으면 관절염이나 심혈관질환 같은 합병증이 올 수도 있어 주의를 요한다. 목욕 시에도 과도하게 때를 밀지 않도록 해야 하고 스트레스 관리에도 신경써야 한다.
‘겨울철 건선 주의보’‘겨울철 건선 주의보’‘겨울철 건선 주의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