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유임 발표를 두고 제주 지역 정치권에서 철회를 촉구하는 성명이 잇따르고 있다. 진보당 제주도당은 25일 성명에서 "송미령 장관 유임 발표는 이재명 정부의 인사 참사"라며 "즉각 사퇴…
[한라일보] 3조8278억원을 투입해 제주시 탑동 앞바다와 삼도동, 건입동, 용담동 공유수면 일대 514만9000㎡ 규모의 항만시설을 건설하는 '제주신항'사업에 대해 지역 어민 등이 반발했다. 해양수산부와 제주도는 24일 김만덕기념…
[한라일보] 전국에서 처음으로 제주에 '지역출판 진흥 조례'가 만들어졌지만 수년째 작동하지 않고 있다. 공공도서관이 주최하는 책 축제를 출판 활성화 사업으로 내세우고 있을 뿐 '지역출판 진흥 계획' 등 지역출판에 활력을 …
[한라일보] 제주도가 도내에 LNG 도시가스를 보급한 이래 처음으로 요금 인상을 추진한다. 그러나 지역경제가 그 어느 때보다 어렵고, 정부도 각 지자체에 지방공공요금을 동결하라고 압박하고 있어 요금 인상이 실제 단행될지…
[한라일보] 제주도 여행객이 지정면세점에서 구입할 수 있는 주류 면세물품의 병수 제한이 폐지된다. 이에 따라 앞으로 지정면세점에서 총 용량 2L 이하, 금액 400달러 이하만 충족되면 면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정부는 24일 국…
[한라일보] 제주 지역 10개 해수욕장이 오늘(24일) 개장했다. 금능, 협재, 곽지, 함덕, 이호테우, 월정, 삼양, 김녕, 화순금모래, 표선해수욕장이 그곳으로 제주도는 26일 신양섭지, 30일 중문색달해수욕장을 포함 이달 안에 12개 해…
[한라일보] 제주지역 신혼부부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공공임대주택 월 3만원' 정책이 다음달부터 시행된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신혼부부와 청년층을 위한 이런 내용의 맞춤형 주거복지 정책을 본격 추진한다고 24일 밝…
[한라일보] 제주특별자치도가 사실상 도로로 이용되는 사유지의 지적 정리 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해 올해 157개 마을을 차례로 방문해 홍보 활동을 벌인다고 24일 밝혔다. '사실 현황 도로 지적공부 정리 사업'은 과거 새…
[한라일보] 제주특별자치도는 7월 4일부터 22일까지 제주 국가유산방문의 해를 기념해 '2025 세계유산축전-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을 개최한다고 23일 밝혔다. 세계유산축전은 2020년부터 국가유산청과 국가유산진흥원이 유네스…
[한라일보] 조선시대 대표적 여성 의인 김만덕의 나눔과 도전 정신을 현대에 잇기 위해 제정된 제주도의 김만덕상이 약 20년 만에 바뀐다. 2006년 이후 봉사·경제인 2개 부문으로 나눠 실시해오다 지난해 조례를 개정해 향후 '김…
[한라일보] 제주지역 아동과 노인에게 주치의를 지정해 질병 예방과 치료 등 건강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제주형 건강주치의 사업'이 이르면 오는 9~10월쯤 시작한다. 전 정부에서 국가 의료서비스와 일부 중복된다는 이유로 제…
[한라일보] 7월 1일은 세계 등대의 날. 이를 기념해 제주에서 세계 등대의 날 기념식 등 '대한민국 등대주간'(6월 27~7월 6일) 행사가 열린다. 23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올해로 2회째인 대한민국 등대주간은 '세계 등대의 날'을 기…
[한라일보]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기후에너지부 신설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면서 신설시 제주 유치에 대해 제주 정치권이 목소리를 적극 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새 정부의 정책기조가 균형발전에 있고, 정부가 일부 …
[한라일보] 물의 존재 여부를 기준으로 제주 오름의 생태·문화적 가치를 발굴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기존 오름의 형태별 분류가 외견상 오름의 모양을 설명하기에는 유용하나 제주도의 역사, 문화, 생태학적 측면에서 …
제주도민 자동차 선호도 급변.. 경유·LPG '시들'
'화들짝' 서귀포 중문 호텔 화재 투숙객 40여명 대피
1인당 15만∼55만원 소비쿠폰 21일부터 어떻게 받고 쓰나
제주고 김지성 40년 만에 남고부 공기권총 전국 제패 '쾌거'
"제주 곶자왈 숨골 같은 역할로 국가폭력 트라우마 회복 기…
‘벚나무 벌목’ 제성마을 ‘시비(詩碑)’ 철거 놓고 갈등
제주여성 생애사 아카이브 추진
철재 기둥이 ‘쾅’… 제주 공사현장서 40대 중상
올여름 제주 마을 해수풀장 입장료 1000원 내린 3000원
[고승철의 현장시선] 다시 뛰는 제주 관광
[한라포커스] 반복되는 고수온 피해 대책은 없나
수령 72년 추정 한라산 '구상나무 대표목' 공개
이른 장마 종료에 제주 가뭄 종합대책 추진
제주 바다 1주일 일찍 고수온 특보… 양식장 비…
문대림 의원 해양오염 대응 체계 강화 개정안 대…
제주여성 생애사 아카이브 추진
하원테크노캠퍼스 산업단지, 정부 재정투자심사…
제주 시판 도시락·밀키트 나트륨 과다 섭취 우…
'취임 30일 회견' 이 대통령, '지역우선.. 균형 발…
도-업계 반려동물 산업생태계 조성 '맞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