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 제주도립예술단 활성화 TF팀 운영을 둘러싸고 파행이 빚어졌다. 도립예술단 중장기 발전방안 용역 최종 보고회 이후 가동된 TF팀에 참여해온 제주도립 제주교향악단 노동조합 대표가 막바지 탈퇴를 선언했기 때문이다.
제주도가 꾸린 도립예술단 활성화 TF팀은 5개 예술단 노조 대표, 관계 공무원 등 15명으로 구성됐다. 지난 4월 이후 지난 24일까지 총 8차례 회의가 이루어졌다.
제주교향악단 노조는 24일자로 배포한 '제주도는 도립예술단 발전방안 회의를 내실화하라'는 제하의 성명에서 "지휘자와 안무자 연임 제한 도입 등 용역에서 제안한 핵심적 사항들이 TF 회의에서는 상반된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며 "이 상태에서는 더 논의에 참여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 교향악단 노조는 TF팀 탈퇴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특히 지휘자 연임 제한과 관련 "경북, 부산, 대전 등 다른 지역에서는 지휘자가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집중해 펼칠 수 있는 시간을 일정 범위로 정해놓아 장기 집권에 따른 해태나 권태를 방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제주는 이같은 제한이 조례에 명시되지 않아 지휘자 위촉시기마다 잡음이 흘러나오면서 예술단원은 물론 지휘자 개인에게도 불명예스러운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제주교향악단 노조는 또한 "도립예술단의 행정 체계를 도문화정책과 전담팀을 만들어 소속시켜야 한다고 제안했지만 도문화진흥원, 제주시, 서귀포시가 관리하는 현행 유지안을 고수하고 있다"며 "시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립예술단체들이 제주 전역에 문화를 공급하는 기회를 놓친다면 세금 낭비와 또다른 부작용을 낳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대해 도문화정책과 관계자는 "도문화정책과의 도립예술단 컨트롤타워 기능을 강화해나가면서 제주도 소속으로 통합 운영하는 방안을 단계별로 추진할 것"이라며 "지휘·안무자 임기는 지금처럼 2년마다 평가를 통해 재계약하는 게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