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H 농촌문화유적길 조성의 갖는 의미를 되새긴다.
2022-07-15 13:58
(사)서귀포시4-H본부 회장 고성봉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보기
4-H 농촌문화유적길 조성의 갖는 의미를 되새긴다.

지난 1952년 초에 우리 제주에 4-H가 태동하여 1년여의 준비기간을 거쳐 1953년에 이동4-H가 정식으로 발족되어 본격적으로 4-H활동을 시작한지 어느덧 제주4-H운동 70주년을 맞이하고 있다.

그동안 제주4-H운동은 문맹퇴치와 농촌계몽을 시작으로 농어촌의 지도자와 민주시민을 양성하며 지역사회의 리더를 만들어나가는 단체로서의 많은 역할을 했다.

해당 기간중에 우리 서귀포시 지역에도 1960~1970년대의 4-H표지석이나 4-H유적들이 몇 백기에 달하게 조성되었으나 대부분 소실되고 현재는 30여기가 남아있다.

4-H표지석 등 농촌문화유적의 중요성을 인식한 4-H본부는 2021년 3월에 회의를 통해 서귀포시 지역의 4-H표지석과 유적들을 전수조사하여 원형 복원하고, 4-H 농촌문화유적길을 조성하기로 결의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보전상태가 양호하고 근대 농촌문화의 역사성과 상징성을 갖는 4-H표지석 11기는, 2021년에 서귀포시 문화도시센터에 신청하여 심사 후 해당연도 말에 서귀포 미래문화자산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서귀포시4-H본부는 4-H유적의 전수조사와 도색, 받침석, 이정표 현황석, 유적길 조성비 세우기 등을 통해 2022년 6월30일 “서귀포시 4-H 농촌문화유적길을 조성하여 제막식과 준공식”을 개최했다.
대정읍에서 성산읍까지 4-H표지석과 4-H유적 등 31기를 연결하여 조성한 191km에 달하는 서귀포시 4-H 농촌문화유적길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

한번 소멸되어버린 문화유산은 다시는 복원하기가 힘들다. 우리의 농촌문화유산을 복원하고 4-H 농촌문화유적길을 조성하여 농촌문화유산 만들기를 통한 청소년들에게는 교육의 장소를 만들어 나가는데 있다.

또한 서귀포 미래문화자산 선정을 시작으로 제주의 향토유형유산과 등록문화재로 등록하여 영원히 후세대에 전승하기 위함이다. 이것이 서귀포시4-H본부가 꿈꾸는 4-H 농촌문화유적길을 조성한 진정한 의미가 될 것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3264 “일회용 컵 보증금제, 예외없이 전면 시행돼야”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홍지우 11-10
3263 난방용품 안전한 사용으로 따뜻한 겨울나기  ×1 ×1 효돈119센터 11-10
3262 2022년 노인일자리를 마치며,,  ×1 김경율 11-10
3261 노인과 버스정류장  ×1 김덕용 11-10
3260 농업인의 날  ×1 장희수 11-10
3259 11월 11일은 농업인의 날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장희수 11-09
3258 함께 걸어가는 우리는 보행자!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주영 11-08
3257 11월11일 보행자의 날을 아시나요!  ×1 비밀글 김주영 11-08
3256 미래의 꿈나무인 아이들을 위한 기마대의 역할  ×1 ×1 이명량 11-08
3255 나비효과로 성산읍 행복 복지 일번지로 거듭나길!  ×1 윤매순 11-08
3254 김치의 날을 아시나요!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조윤아 11-07
3253 탄소중립, 우리도 생활 속에서 실천해야 할 때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김혜지 11-07
3252 재앙이 된 기후변화  ×1 제주대학교 김수준 11-05
3251 다시 찾아온 제주도민체전, 기쁨의 축전!  ×1 강진화 10-31
3250 긍정의 힘으로  ×1 김정범 10-31
3249 제주양돈농협 이도지점, 이도2동에 돼지고기 100kg 기부  ×1 ×1 양현주 10-27
3248 학생독립운동기념일을 아시나요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양희진 10-27
3247 도움 될 정보에요 유익한 10-25
3246 제주시 지원 애월읍 아동 꿈성장 배움터 종강식 진행  ×1 서부종합사회복지관 10-24
3245 제1회 제주학생 생명존중 열린토론대회  ×1 애서원 10-24
3244 자원봉사 시작하기  ×1 ×1 김희범 10-21
3243 서부종합사회복지관 삼성꿈장학재단 배움터 지원사업   ×1 김루대아 10-21
3242 다름을 인정하는 것이 친절의 기본이다  ×1 ×1 김성봉 10-21
3241 제주 바다의 위기 이제는 보호해야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조윤아 10-18
3240 재활용 이제는 새활용이다! 업사이클링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김현진 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