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뇌졸중 치료는 시간이 금이다
2021-12-08 08:36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최근 들어 추워진 날씨에 순환기계 질환(허혈성 심장질환, 뇌혈관 질환, 고혈압성 질환 등) 관련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2020년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순환기계 질환은 50대 이상 연령층 사망원인의 약 20%를 차지한다. 혈관의 탄력성이 저하되는 중년층에서는 기온 하락에 따른 혈관 수축으로 인한 파열이나 경색의 위험성이 크게 증가하는 것이다.
뇌혈관 질환 중에 뇌졸중은 뇌혈관이 터져서 발생하는 뇌출혈과 뇌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뇌경색으로 나뉜다. 뇌 조직은 혈액을 공급받지 못하면 기능을 멈추고 괴사하기 시작해 치료를 늦게 받는다면 반영구적인 손상을 남긴다. 이때 혈액 공급이 안되는 부위에 따라 발현되는 증상과 후유증이 다르며, 손상 부위가 넓을수록 여러 가지 증상이 생기거나 후유증의 정도가 심해진다. 뇌경색은 증상 발현 후 3시간 이내에 혈전용해제나 항응고제 등 막힌 혈관을 뚫는 약을 쓰거나 시술을 시작해야 하며, 뇌출혈도 증상 발현 3시간 이내에 출혈 부위 혈관을 봉합하고 고인 혈액을 제거해 뇌압을 낮춰야 한다. 필요한 처치를 얼마나 빨리 받는지에 따라서 후유 장애의 유무와 정도가 정해지므로 신속하게 뇌졸중 처치가 가능한 병원에 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뇌졸중엔 여러 가지 증상들이 있지만, 대표적으로 ▲웃을 때 얼굴이 좌우대칭이 아니거나 ▲한쪽 몸이 힘이 빠진다거나 ▲말을 할 때 발음이 이상하거나 ▲현재 시간을 말하지 못한다면 뇌졸중을 의심하고 바로 119에 신고해 뇌졸중 치료가 가능한 병원에 가야 한다. 주변 사람들의 위 증상들을 발견하게 된다면 즉시 119에 신고하거나, 응급실에 내원하여 신속한 처치를 받기를 바란다.

No 제목 이름 날짜
3127 일자리가 가져다준 행복  ×1 염옥란 04-26
3126 일상생활 사고 피해, ‘도민안전보험’으로 보상 받으세요  ×1 ×1 제주시 안전총괄과 김성수 04-26
3125 전쟁으로 주목받는 농업의 중요성  ×1 ×1 비밀글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김종우 교수 04-25
3124 개발,무관심에 사라지는 용천수제도 개선 필요  ×1 기봉 04-25
3123 삭제 비밀글 삭제 04-22
3122 소상공인의 든든한 퇴직금 노란우산공제에 가입하세요   ×1 문원영 04-21
3121 출력제어, 분산에너지 그리고 에너지 분권  ×1 ×1 오정헌 04-21
3120 4월 22일 자전거의 날 “자전거로 제주를 지켜요!” 소중한 지구를 지키는 …  ×1 강태욱 04-20
3119 대학의 위기, 제주의 위기  ×1 원고운,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04-18
3118 [기고] 확산이 끊이지 않는 불법광고물  ×1 ×1 오라동주민센터 김건 04-18
3117 코로나19시대, 힐링 제주는 산불예방으로 부터...  ×1 도 세계유산본부 비자림관리팀장 하성현 04-13
3116 지구의 날, 한 사람의 열 걸음보다 열 사람의 한 걸음부터  ×1 ×1 임지은,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04-12
3115 서귀포YWCA 달리는 건강 쿠킹버스 활용한 식생활개선 교육 시민대상 교육 참…  ×2 서귀포YWCA 04-11
3114 [기고]작은 불티도 다시 보자  ×1 ×1 남원119센터 오봉근 04-10
3113 고사리 꺾을 땐 함께가요  ×1 ×1 양희진 04-06
3112 일회용품 없는 제주, 미래 세대를 위한 약속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고민희 04-06
3111 어른들은 주차장을 만들겠죠  ×1 ×1 비밀글 홍라원 04-05
3110 한라산탐방로 쓰레기종류  ×1 ×1 김용훈 04-04
3109 심각해지는 미세먼지, 이제는 행동할 때!  ×1 임승현 04-02
3108 나무심기, 기후변화 대응의 시작  ×1 김은지 04-01
3107 코로나19로 늘어난 환경오염의 주범, 플라스틱 폐기물은 누구의 책임인가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민지 03-30
3106 미래를 위한 작은 실천_플로깅을 통한 환경 정화 활동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현민희 03-27
3105 비양도습지생태학교에 초대합니다.   ×1 생태교육허브물새알 03-25
3104 (기고) 자연장(自然葬)을 선호하는 이유  ×1 ×1 김성봉 03-24
3103 제주 도내 방치 렌터카 현재 상황은?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4학년 서행환 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