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되는 사회적 폭력 이대로 괜찮을까
2021-05-28 16:21
반복되는 사회적 폭력 괜찮을까.hwp ( size : 11.00 KB / download : 1 )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2020년 한 고려대학교 학생이 극심한 스트레스로 인한 심정지로 목숨을 잃는다. 학업에 의한 스트레스? 취업에 대한 고민? 아니다. 그는 성범죄자로 무고하게 몰려서 목숨을 잃었다. 형사들의 강압적인 수사 때문에? 아니다. 그는 수백 수천명의 안면도 없는 익명의 다수가 보낸 비난의 눈초리에 목숨을 잃었다.
마찬가지로 2020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채정호 교수 역시 성 착취물을 구매하려 했다는 억울한 누명을 쓰고 알지도 못하는 수 백 수 천명의 사람들에게 비난의 눈초리를 받았다. 그는 적극적으로 누명을 벗기 위해 노력했고 결국 아무런 잘못도 없음이 드러났지만 그것이 그에게 가한 수백의 비난이 잘못없다 하진 못할것이다.
위 사건들의 공통점은 폭로의 대상자들이 공식적인 사법절차에 의해 유죄 - 무죄의 판결을 받고 그에 관한 비판을 받은게 아닌 디지털 교도소라는 개인의 사적제재를 목적으로 한 사이트로 인하여 피해를 받았다는 것이다. 저 사건의 피해자들 모두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가장 큰 문제점이 바로 판결 이전부터 가해진 사회적, 집단적 폭행이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에 발생한 한강 의대생 실종 사건에서 이런 사회적 폭행은 여전히 자행되고 있다. 사망한 손정민씨의 친구 A씨는 손정민씨가 실종된 그날 수상한 정황을 보였다. 하지만 그 수상한 정황이 그에게 가해지는 수많은 사회적 폭력의 근거가 될 수는 없다.
친구 A씨가 나중에 범인으로 특정되고 법원에서 유죄 판결을 받을 수도 있다. 하지만 지금은 아니다. 지금의 그는 사회의 여느 학생과 다를바 없는 생활을 누릴 권리가 있고 그 누구의 압박 없이 그런 생활을 누려야한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친구 A씨와 그의 아버지로 추정되는 인물들의 신상이 온라인 상에 유포됐고 아버지가 운영한다고 알려진 병원에 악플을 남기고 별점 1점을 주는 등의 사회적인 폭력이 가해지고 있으며 친구 A씨의 친구가 5월 12일 A씨는 현제 정신이 완전히 무너진 상태로 이민까지 고려중이라며 과열된 네티즌들을 비판하는 글을 남긴바 있다.
작금의 세태는 더이상 간과해도 될 상황이 아니다. 온라인에서 가해지는 사회적인 폭력들은 이미 무고한 희생자들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심지어 목숨을 잃는 피해자들도 발생하고 있다.
지금의 상황을 바라보면 부화뇌동이라는 말이 떠오른다. 남들도 욕하기에 자신들도 욕하는 현 사회가 그런 분노의 굴레에 빠져든것만 같다. 하루라도 빨리 이 사회가 이런 굴레를 끊고 화합의 한발을 내딛으면 어떨까.

No 제목 이름 날짜
3031 [기고]올바른 난방용품 사용으로 따뜻하고 안전한 겨울 보내기  ×1 ×1 남원119센터 11-24
3030 전파분야 지역인재육성을 위한 전파측정 기술교육 특강  ×1 원도현 11-23
3029 자원봉사와 실적  ×1 ×1 김희범 11-23
3028 달리는 건강 쿠킹버스 코로나19 심리방역을 위한 [건강한식생활교육 및 콩…  ×1 서귀포YWCA 11-22
3027 성전환 수술을 거친 트랜스젠더, 우리는 그들을 인정하고 있나  ×1 고민희 11-22
3026 어린이보호구역의 불법주정차 금지 제안  ×1 김정열 11-21
3025 [기고]올바른 난방용품 사용으로 따뜻하고 안전한 겨울 보내기  ×1 ×1 남원119센터 11-19
3024 열려라, 공익활동 공간  ×1 김현(제주공익활동지원센터) 11-18
3023 ‘2021 전도 신장장애인 파크골프대회’ 성료  ×1 사)한국신장장애인협회제주협회 11-17
3022 아동 학대 예방의 날을 기억해 주세요!  ×1 김은지 11-17
3021 반복되는 아동학대! 여러분들의 관심과 동참이 절실합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아동보호전문기관 11-16
3020 1980년에 멈춰있는 성소수자들의 삶  ×1 동국대학교 영어영문학전공 이혜윤 11-15
3019 “우리, “마음(心) 겨울 채비” 할까요!”  ×1 한전 제주본부 한은진 차장 11-15
3018 112는 언제나 여러분 곁에 있습니다.  ×1 ×1 제주경찰청 112상황실 경감 강권삼 11-13
3017 날이 갈수록 말라가는 제주의 물  ×1 비밀글 김제곤 11-13
3016 11월 11일, 이제는 유엔 참전용사의 날로 기억되길  ×2 제주대학교 2학년 이해창 11-09
3015 [기고] 농업인의 날, 빼빼로데이와 상생해야  ×1 ×1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김종우 교수 11-08
3014 의료 사각지대로 내몰린 농촌, 기다릴 여유가 없다.  ×1 임규현(농협창녕교육원 교수) 11-08
3013 2021년 노인일자리(전기차충전기관리사업)를 마치며..  ×1 허옥일 11-05
3012 자원순환사회로 가는 제주  ×1 ×1 제주도청 자원순환관리팀장 정근식 11-04
3011 김장철 원산지 위반, 이제는 달려져야!  ×1 ×1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김종우 교수 11-03
3010 제주역사문화재돌봄센터, 해신사, 김석윤 가옥, 제주목 관아, 삼성혈 4곳에…  ×1 제주문화진흥재단 11-03
3009 코로나19, 일상회복 그리고 농업인의 날  ×1 유승훈(농협구례교육원 교수 11-02
3008 기고  ×1 이선엽(제주대학교 행정학과) 11-01
3007 사)한국신장장애인협회제주협회 ‘2021 새 생명 나누기’사랑의 장기기증 …  ×1 ×1 사)한국신장장애인협회제주협회 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