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줬다 뺏는 기초연금? 복지사각지대 개선 시급
2019-01-07 11:31
|
|||
---|---|---|---|
도 노인장수복지과 문원영 (Homepage : http://)
|
|||
작년 12월 어느날. 아침 9시에 맞춰 걸려온 민원전화“이럴거면 뭐하러 줘? 차라리 준다고 하지나 말지? 사람을 놀리는 것도 아니고”화가 잔뜩 섞인 목소리가 쉽사리 끝날 통화가 아닌 듯 했다. 만 65세가 되자 기초연금 신청통지서를 받고 동사무소에 가서 신청서를 작성하고 25만원 연금 받을 생각에 기대하고 있었는데,“생계급여”에서 25만원이 차감되어 동사무소에 잘못 지급된 거 아니냐고 확인했더니 “기초연금 받은만큼 생계급여가 차감”된 사연이었다. 한참 듣고선 “어르신같은 분들이 많으시고 지난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건의하고 있고, 국회에서도 내년도부터는 달라지는 제도를 만들고 있다니 조금 더 기다려 보시게요“. 그렇게 지난 3년간 기초연금 담당자로서는 달래드리는 방법밖에 없었다. 제주의 경우 598백명중 기초연금과 생계급여를 동시에 수급하시는 분들은 68백명(11.3%) 으로 전국평균 10.4%인 53만명 가량해당되고 있다. 즉 어르신들 입장에서는 기초연금을 줬다가 생계급여에서 감액하다 보니까 「기초생활수급 노인에게 지급되는 기초연금에 대해서는 줬다 뺏는 기초연금이라는 별칭」이 붙어졌다. 지난연말 예산심의에 기초연금 증액을 의결하였다는 기사를 보면서 내심 기대하고 있었다. 그런데 결과는 막판에 반영되지 못하였다 기초연금이 20만원에서 ‘18년 9월에 25만원 ’19.4월에는 30만원으로 계속 인상될수록 생계급여 어르신들의 상대적 빈곤은 더 심화되고 있다. 정부도 국회에서도 문제점은 알고 있으나 섣불리 제도개선을 못하는 이유는 재정부담이다. 재정부담이 문제라면 연금액 인상보다는 기초연금사각지대에 해소에 먼저 관심을 가져야 하지 않을까 싶다. 기초생활보장제도와 기초연금제도의 연계로 최하위 소득의 어르신들의 소득 양극화는 깊어지고 있다. 노인인구의 70%가 수혜자인 기초연금은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선별적 (저속득 층 등에게 제한적으로 제공) 복지제도의 발에 묶여 보편적(모든 국민이 혜택) 복지의 제기능을 못하고 있다. 하루빨리 기초연금이 더 많은 어르신들에게 안정적 소득기반이 될 수 있도록 제도개선이 이루어지길 간절히 바란다. |
|
제주 마늘 재배 시작…토양소독·우량 씨마늘 사…
서귀포 이중섭거리 제주지역 첫 보행자 전용길 …
국민의힘 제주도당 위원장 선거 김승욱·고기철 …
제주지방 휴일까지 최고 40㎜ 소나기.. 열대야 12…
[양기훈의 제주마을 백리백경.. 가름 따라, 풍광 …
[사설] 제주도 하반기 정기인사, 다시 출발선에…
[사설] 불법주정차 만연…사고 야기 경각심 절실
[열린마당] 보이지 않는 손길에 따뜻한 빛을
[고영림의 현장시선] 무엇이 제주를 살릴것인가
언론노조 JIBS제주방송지부 “대표이사 명예훼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