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7일 설문대여성문화센터 회의실에서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이 마련한 '국립탐라문화유산연구센터 건립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 설명회가 열리고 있다. 진선희기자
[한라일보] 국립탐라문화유산연구센터(이하 센터) 건립 대상지로 제주시 동 지역의 가칭 '동인초등학교' 부지가 제시됐다. 센터는 지하 1층, 지상 2층으로 지어지며 국가유산 조사·연구를 핵심 기능으로 1과 1실 4팀 25명을 확보하는 안이 짜였다.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은 지난 7일 설문대여성문화센터 회의실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센터 건립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 설명회를 개최했다. 지난해 10월 국가유산청에서 센터 추진 방향을 밝힌 이후 올 들어 관련 용역(한라일보 7월 31일자)에 나선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이 처음 제주에서 마련한 설명회였다. 이날 제주도 세계유산본부와 국공립 박물관 등 도내외 전문가가 참석해 용역진의 기본계획 설명에 이어 질의응답과 현장 의견이 수렴됐다.
이번에 공개한 센터 건립 사업비는 460억원대다. 사업 대상지는 제주도교육청 소유의 가칭 '동인초' 부지(건입동 130-1 외 12필지)다. 인근에 국립제주박물관이 위치한 이곳은 학교 신설 계획이 무산된 이후 오랜 기간 방치된 부지로 대지 면적은 1만5863㎡에 이른다.
센터는 '제주 국가유산 조사·연구·보존·전시·교육·활용 허브 기관'을 표방하고 있다. 국립제주박물관, 제주도 민속자연사박물관, 제주도 세계유산본부 등 유관 기관과의 기능과 역할 비교를 통해 ▷지역 유관 기관·단체와의 연계성 강화 ▷복합유산(문화유산+자연유산+무형유산+근현대문화유산) 연구 영역 확대 ▷제주 관내 출토 유물의 과학적인 보존 처리 확충 ▷국가유산의 보존·활용을 위한 공공수장고 설치·확충 ▷제주도 국가유산 지정(등록) 행정적 지원 확대 ▷기후 변화 대응 실시간 지속 가능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자연유산 훼손·멸실 방지 등을 센터의 차별성으로 꼽았다.

지난 7일 국립탐라문화유산연구센터 기본계획 용역 설명회에서 제시한 조감도.
조직 설계안에서는 원장 1명, 기획운영과(아카이브·DB 구축 등) 7명, 학예연구실(문화유산·보존관리·자연유산·무형유산팀) 17명 배치를 그렸다. 건축 규모는 지하 1층, 지상 2층 연면적 6946㎡로 수장·보존 공간을 비롯 전시·교육·연구·사무·편의 공간 등을 갖출 예정이다. 특히 지상 1층은 개방감 있는 로비와 함께 디지털 전시실, 아카이브 도서관, 세미나실, 문화체험 공방 등 지역민과 방문객들에게 열린 공간으로 계획했다.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은 제주 설명회에서 제기된 전문가 의견을 반영해 연말까지 용역을 완료한 뒤 내년에 기획재정부의 투융자 심사를 신청한다. 연구원 관계자는 "설명회에서는 제주에 새로운 국가 기관이 들어서는 것에 대해 다들 반겼다. 박물관 등 제주 유관 기관과의 역할·기능 중복은 피하고 수장고 등 부족한 점을 보완하면서 서로에게 이익이 되도록 하자는 공감대를 이뤘다"며 "내년 상반기 기재부의 사전 타당성 평가를 통과하면 예산이 정해진다. 제주도교육청과의 부지 협의도 그때부터 본격화할 것이다. 2027년 설계를 시작해 계획대로 진행될 경우 2030년 개관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센터가 개관하면 조직 설계안의 정규 공무원 25명 외에도 공무직 연구원이 그보다 더 많이 채용되는 등 상당수가 제주대 등 제주 출신 인력들로 채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