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도의회 교육위원회 고의숙(왼쪽부터), 강충룡, 김경학 의원이 19일 제주도교육청으로부터 올해 주요 업무를 보고 받고 질의하고 있다. 제주도의회 제공
[한라일보]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 제주형 자율학교의 하나인 'IB 학교'를 올해 17개교로 확대했지만 여전히 고등학교는 1곳뿐인 문제가 지적됐다. 이로 인해 IB 고교의 입학 경쟁이 더 과열될 거라는 우려가 나왔다. IB(국제 바칼로레아)는 비영리교육재단인 IBO가 개발 운영하는 국제인증 학교교육 프로그램으로, 자기 주도적 성장을 추구하는 교육체계를 말한다.
제주도의회 교육위원회는 19일 제435회 임시회 기간에 제주도교육청의 2025년도 주요 업무를 보고 받고 이 같은 문제를 제기했다.
도교육청에 따르면 도내 IB 학교는 2021년 4곳으로 시작해 해마다 늘고 있다. 2022년 8곳(초등학교 5·중학교 2·고등학교 1)이었던 IB 학교는 올해 후보·관심학교를 포함해 모두 17곳으로 늘었다. 첫 시작점인 4년 전과 비교해 보면 초등학교는 2곳에서 11곳으로, 중학교는 1곳에서 5곳으로 증가했다. 하지만 고등학교 과정인 IB DP를 운영하는 고교는 여전히 표선고등학교, 단 1곳에 그치고 있다.
고의숙 의원(교육의원·제주시 중부)은 이날 질의에서 "올해 표선고에 진학을 희망했는데 떨어진 학생 수가 예전에 비해 많았다"면서 초·중 IB 학교와 연계할 수 있는 고교가 표선고 한 곳뿐인 문제를 제기했다.
그러면서 "이런 상황은 우리 아이들이 고등학교 진학에서부터 실패의 경험을 (갖도록) 교육청이 조장하고 있는 것"이라며 "작년 말에서 올해 초에 고등학교 진학에 대한 상당한 민원이 있었던 것은 고등학교를 (초·중 IB 학교와) 연계해서 가고 싶은 학생들이 많아진 것이다. 그동안 초·중학교가 확대됐기 때문에 고등학교를 더 늘렸어야 했다"고 꼬집었다.
답변에 나선 김월룡 도교육청 교육국장이 "단지 (IB 학교인) 초·중학교 학생들이 그대로 IB 고등학교에 가고 싶다고 해서 IB 고교의 문을 넓힌다기보다는 도내 전체적인 일반고의 균형 발전과 맞물려 진지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하자, 고 의원은 "교육청이 그렇게 생각한다면 내년에는 민원이 더 크게 발생할 것"이라며 "교육청이 대책 없이 초·중 IB 학교를 늘려놨다. 학생들이 느끼는 좌절감은 결국 행정의 책임"이라고 맞받았다.
이보다 먼저 질의에 나선 강충룡 의원(국민의힘·서귀포시 송산동·효돈동·영천동)은 도교육청이 구체적인 계획에 맞춰 IB 학교를 운영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초·중학교의 경우 제반 여건이 되고 학교 구성원이 원한다면 적정성을 검토해 IB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는 도교육청 측의 설명에 대해 강 의원은 "구성원이 원한다고 하는 게 아니라 교육청의 계획에 맞게, 예산 범위 내에서 진행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큰 혼란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표선, 성산, 이 정도로 한정적이라면 말을 않겠지만 문제는 애월중학교와 장전초등학교 등도 (IB 학교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IB 고교 확대가 불가피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예산 수반이 가능한가. 도교육청이 큰 그림을 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선 최근 대전의 한 초등학교에서 발생한 초등생 살인 사건과 관련해 도교육청의 대책을 묻는 질의도 이어졌다. 김경학 의원(더불어민주당·제주시 구좌읍·우도면)은 "학부모와 아이들, 또 학교 현장에 있는 모든 관계자들이 상당한 불안감과 걱정을 안고 있다"며 마음 건강에 문제가 있는 교사들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냈다.
김 의원은 "'제주도 질환교원심의위원회 설치·운영에 관한 규칙'이 2016년에 제정됐지만 지금까지 단 한 번도 회의가 열리지 않았다"며 "제주 교육 현장이 운이 좋아서인지 아니면 마음 건강이 심각한 분들이 없어서인지 상당히 의문이 가는 대목"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김 교육국장은 "아직 확정되진 않았지만 학교 현장과 교사들을 긴급 지원하기 위한 가칭 긴급지원팀 구성을 (검토하고 있다)"며 "질환교원심의위원회의 기능을 보완해 우려가 현실이 되지 않도록 더 노력하고 세심히 살피겠다"고 했다.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