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생활안전사고, 주로 가정서 발생

제주지역 생활안전사고, 주로 가정서 발생
제주연구원, 일상생활속 사고예방 노력 강화 필요
지역안전지수 관리체계 고찰 등 개선책 제시
  • 입력 : 1970. 01.01(목) 09:00
  • 이태윤기자 lty9456@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지역의 생활안전사고 특성 분석결과, 집·가정에서 안전사고 발생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연구원 박창열 책임연구원은 5일 발간된 JRI이슈브리프 '제주지역 생활안전 분야 지역안전지수 현황과 향상방안'을 통해 제주지역 생활안전사고 특성, 지역안전지수 관리체계 등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 책임연구원은 제주지역의 생활안전 분야 핵심지표 분석, 사고 발생특성 등을 토대로 생활안전 분야 지역안전지수 향상을 위해서는 우선 지역안전지수를 구성하는 핵심지표 기반 관리체계 구축과 사업 평가 및 모니터링 정례화를 통한 환류 운영체계를 마련을 강조했다.

 또 안전 환경 및 수요가 지역마다 상이함에 따라 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지역사회 안전 실태 진단 및 맞춤형 안전개선사업 발굴, 생활안전 분야를 포함한 6개 안전분야(생활안전, 화재, 교통사고, 범죄, 자살, 감염병)에 대한 핵심지표 분석 및 지수 관리체계 구축 등을 조언했다.

 이어 제주지역 생활안전사고는 집, 가정에서의 상해·열상·중독 유형의 발생비율이 높음에 따라 일생생활 속 사고예방 노력 등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박 책임연구원은 "지역안전지수가 지역사회의 안전도를 모두 나타낼 수는 없지만, 도민과 관광객의 안전 불안감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체계적 관리가 필요하다"며 "사고다발지역에 대한 집중관리, 도민들의 인식 개선, 관광지의 안전수칙 위반 단속 강화 등 맞춤형 안전개선사업을 발굴해 핵심지표 기반의 관리체계를 운영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지역별 안전수준을 객관적으로 표현하고, 지역사회 안전정책을 가이드하기 위해 2015년부터 지역안전지수를 매년 공표하고 있다. 이와 관련 제주도의 지역안전지수는 전국 최하위로 나타나고 있다. 최근 제주지역 안전지수는 타지역과의 격차를 줄여가고 있으나 여전히 전국 평균에 비해 50% 이상 크게 나타나고 있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989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