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H운동으로 여성리더를 양성해 나간다
2022-09-05 10:43
(사)서귀포시4-H본부 여성부회장 고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보기
4-H운동으로 여성리더를 양성해 나간다

(사)서귀포시4-H본부 여성부회장 고애경


필자는 고교시절 학교4-H활동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30여년간 4-H운동에 참여하며 4-H운동을 통한 지역사회의 여성리더를 양성해 나가는데 함께해 왔다.

4-H운동은 1902년 미국의 오하이오주(州)에서 시작되었으며, 우리의 4-H운동은 1926년 사각소년회라는 이름으로 태동하였다. 현대적 의미의 본격적인 4-H운동은 1947년 경기도에서 농촌청년구락부를 조직하면서 시작되었고, 4-H구락부, 새마을4-H구락부, 새마을청소년회, 4-H회로 명칭이 변경되기까지 농업, 농촌, 국가발전에 기여해 왔다.

우리 제주는 1948년 제주4.3과 1950년 6.25사변 등으로 극도로 혼란에 빠져 어려운 시대적 상황과 발맞춰 4-H가 싹트기 시작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1952년 초에 4-H가 태동하여 1년여의 준비기간을 거쳐 1953년에 리.동4-H회가 정식으로 발족되어 본격적으로 제주4-H운동이 시작됐다.

이 기간동안 4-H운동은 문맹퇴치와 농촌계몽을 시작으로 농어촌의 지도자와 민주시민을 양성해 나갔다. 특히 가난하고 배고팠던 시절 농어촌지역의 여성 청소년들에게는 4-H활동이 특별한 단체활동이 되었고, 생활개선 교육 등 각종 사회교육의 과정을 통해서 여성리더가 갖춰야할 배움의 장이 되었다.

사회에는 다양한 특성을 갖고 있는 단체들이 존재한다. 농촌지도기관에서 육성하는 학습단체, 행정과 발맞춰 지역에 봉사하는 단체, 국제적 봉사이념에 맞춰 봉사하는 국제클럽, 시민, 사회, 환경, 여성 NGO단체들이 제각기 단체적 활동영역에 맞춰 활동해 나간다.

우리 4-H단체는 지난날 리.동4-H, 읍.면4-H의 과정을 거쳤고, 현재 학교4-H활동과 시단위 이상 4-H연합회의 과정을 거치며 지역의 지도자를 양성해 왔다.

이제는 4-H운동의 총화적 통합기구인 4-H본부가 그 중심에서 위의 역할을 담당해 나가고, 4-H활동을 통한 여성리더를 양성해 나가는 장소로 만들어 나가고자 한다. 이것이 서귀포시4-H본부의 여성부회장으로서 제시하는 바람이기도 하다.

No 제목 이름 날짜
3279 길거리 흡연, 이제는 없어져야 한다!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권재경 11-24
3278 건강한 제주 만들기는 플라스틱 사용 자제로부터   ×1 행정학과 김소현 11-23
3277 남원119센터, 남원의용소방대 불조심 강조의 달 캠페인 실시  ×1 남원119센터 예방담당 오성룡 11-23
3276 자신의 모습에 끊임없이 집착하는 사람들  ×1 ×1 동국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박지화 11-22
3275 2022년 후원자·자원봉사자 감사의 날 실시 - 서귀포시홀로사는노인지원센터  ×1 서귀포시홀로사는노인지원센터 11-22
3274 플라스틱 제로 제주 만들기는 플라스틱 사용 자제로부터   ×1 ×1 김소현 11-22
3273 어린이 탑승 주차장을 아시나요! 제주 ‘어린이 탑승 주차장’ 저출산 막…  ×1 행정학과 조예진 11-19
3272 제주경로당 보치아대회에 초대합니다  ×1 제주도청 노인장수복지과 유은숙 11-18
3271 반복하지말자 대형산불  ×1 ×1 김형철 11-17
3270 11-16
3269 순국선열의 희생정신을 국민정신으로.....   ×1 광복회제주특별자치도지부장 강혜선 11-15
3268 플라스틱 라벨 잘 제거하시나요?  ×1 제주대학교 2학년 문동혁 11-14
3267 긍정적 사고가 성공으로 이끈다..  ×1 고기봉 11-12
3266 남원119센터, 불조심 강조의 달 화재 예방 교육  ×1 남원119센터 예방담당 오성룡 11-11
3265 제주 요일별 쓰레기 배출제도, 개선과 보완의 필요성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정연아 11-11
3264 “일회용 컵 보증금제, 예외없이 전면 시행돼야”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홍지우 11-10
3263 난방용품 안전한 사용으로 따뜻한 겨울나기  ×1 ×1 효돈119센터 11-10
3262 2022년 노인일자리를 마치며,,  ×1 김경율 11-10
3261 노인과 버스정류장  ×1 김덕용 11-10
3260 농업인의 날  ×1 장희수 11-10
3259 11월 11일은 농업인의 날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장희수 11-09
3258 함께 걸어가는 우리는 보행자!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주영 11-08
3257 11월11일 보행자의 날을 아시나요!  ×1 비밀글 김주영 11-08
3256 미래의 꿈나무인 아이들을 위한 기마대의 역할  ×1 ×1 이명량 11-08
3255 나비효과로 성산읍 행복 복지 일번지로 거듭나길!  ×1 윤매순 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