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없는 플라스틱 팬데믹’ 플라스틱 줄이기로 행동해야 한다.
2022-06-06 23:31

원본 이미지 보기
코로나19로 인한 플라스틱의 사용량이 폭증했다. 유럽플라스틱제조자협회(EUROMAP) 통계에 따른 한국의 1인당 연간 포장 플라스틱 사용량은 세계 두 번째로 높다. 비닐의 경우 1인당 연간 비닐 사용개수는 하루 평균 1.15개로, 핀란드의 100배에 달한다.

대부분 플라스틱이 인공적으로 분자를 결합해 만든 ‘합성고분자화합물’이다. 눈에 보이지는 않는 크기로 쪼개져도 오랜 기간 분해되지 않고, 크기 작아 하수처리시설에서 걸리지 않아 바다와 강으로 유입된다. 해양에 유입된 미세플라스틱을 물고기와 해조류가 섭취하고 다시 우리에게 돌아오는 악순환으로 이어진다.

삶에 깊숙이 파고든 일회용 플라스틱식기, 비닐봉지,겉면이 비닐로 처리된 일회용 컵 등은 단 몇분만 사용되고 버려지지만 수백 년 동안 분해되지 않는다고 한다. 이대로라면 2050년에 우리 후손이 사는 세상에는 바다에 존재하는 플라스틱 양이 물고기 전부를 합친 양보다 많아질 것이다.

플라스틱을 줄이기 위해 가정에서, 직장에서, 지역사회에서 플라스틱 공해에 마침표를 찍기 위한 노력에 동참해야 한다. 플라스틱 활용과 폐기에 초점이 아닌 생산과 소비 과정에서 플라스틱을 줄이고, 이후에 폐기물 관리와 재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순환고리를 구축해야 한다.

기업 측면에서는 제품 생산 단계에서 플라스틱을 제한적으로 사용하고 전반적인 플라스틱 제품을 규격화하여 재활용이 용이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소비자의 플라스틱 사용에 따른 보증금 부과 측면과 아울러 다회용기 할인으로 개개인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지역사회와 정부는 친환경 소재나 제품 개발과 생분해성 플라스틱 (미생물과 물, 이산화탄소 등으로 완전히 분해되는) 사용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각 지자체는 지역 자영업자와 배달업체의 협조를 이끌어 일회용품 사용 감소 정책을 고민해야 한다.

우리 모두 작은 일부터 시작해 보자. 일회용 플라스틱을 거절하는 것만으로도 생각보다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나 혼자만의 노력으로 결코 나아갈 수 없다. 누군가를 설득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이다.

포장 폐기물 저감을 위한 정부의 더 과감하고 근본적인 일회용 플라스틱 규제와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의 환경 영향에 대한 대책 마련을 기대한다. 환경은 정치적 중요도에서 보면 경제, 복지, 안보 등의 이슈보다 뒤로 밀려질 수밖에 없다. 오늘 우리의 먹고 사는 문제가 내일 짊어질 부담보다 더 시급하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더 늦기 전에 우리의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풍선만 불어대는 정치가 아닌 정책에 근간을 둔 행정으로 미래의 재앙을 막아야 할 것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3718 지속 가능한 교통 시스템의 구축  ×1 송시현 05-12
3717 기고) 봄철, 온 가족이 화재 예방으로 안전을 지키자  ×1 김민수 05-12
3716 기고) 찾아가는 현장 세무상담실 세금고민 도와준다.  ×1 고종필 05-09
3715 [기고문] 지하공간 침수를 사전대비가 필수입니다.  ×1 장명서 05-02
3714 초고령화 사회, 심신(心身)의 안전은 의용소방대가 지킨다  ×1 ×1 대신여성의용소방대장 윤미정 05-01
3713 차량용 소화기 비치 선택이 아닌 필수!  ×1 ×1 서귀포소방서 효돈119센터 정민혁 04-30
3712 [기고문] 여름철 자연재난(태풍·호우) 사전대비, 다 함께 나서자.  ×1 도 자연재난과장 현민철 04-30
3711 제주자연문화재돌봄센터, ‘위험성평가 컨설팅 2차 교육’ 참석  ×1 제주자연문화재돌봄센터 04-29
3710 클린하우스의 보완안, 재활용도움센터  ×1 비밀글 김우일 04-28
3709 국제로타리3662지구 팔구동기회장단, 사랑의 후원물품 및 기부금 전달  ×1 애서원 04-26
3708 제주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퀴즈’온라인 캠페인  ×1 제주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04-25
3707 삼다신협, 제주가정위탁지원센터에 후원금 기탁  ×1 ×1 제주가정위탁지원센터 04-25
3706 이제는 쓰레기 무단투기 멈춰!  ×1 고기봉 04-23
3705 도민감사관 분임활동을 마치며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4-21
3704 제이피엠 자원봉사동호회, 베두리오름 삼무공원일대 정화 봉사활동으로 아…  ×1 (주)제이피엠 04-19
3703 제주도 AI 아나운서 '제이나'를 아시나요?  ×1 김예진 04-19
3702 ‘청년이어드림지원’ 참여로 ‘희망’을 꿈꾸다.  ×1 김신관 04-19
370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2024 청소년 안전교육’ 진행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4-18
3700 소화전 인근 불법 주·정차 이제 그만 !  ×1 문동식 04-18
3699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중국에 선진지 견학을 다녀…  ×1 양정은 04-17
3698 향군 봉사활동 "꽃과 함께 GoGoGo!"  ×1 제주도향군 04-16
3697 현장 종합감사 참여 소감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4-15
3696 기고문  ×1 ×1 비밀글 보건환경연구원 04-15
3695 푸른 제주의 바다를 지키는 플로깅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김찬우 04-14
3694 풍수해보험, 우리의 내일을 위한 현명한 준비!  ×1 제주특별자치도 자연재난과 장명서 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