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용품 없는 제주, 미래 세대를 위한 약속
2022-04-06 12:15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지난 1일부터 카페·식당 등 식품접객업 매장 내 1회용품 사용제한에 대해 지도와 안내 중심의 계도가 진행되었다. 코로나19 등의 이유로 한시적으로 허용됐던 식품접객업 매장 내 1회용 플라스틱 컵 등 1회용품 사용이 금지되었다. 이번 개정 고시 및 시행규칙은 소비문화 변화와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1회용품 사용이 늘어나 폐기물 발생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무분별한 1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해 마련됐다. 
  
1회용품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위생적이어서 우리의 생활 습관 속에 녹아 있다. 하지만 이름 그대로 한 번 쓰면 쓰레기가 되는 환경에 치명적인 단점을 지닌다.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1회용품을 줄이기 위해 여러 가지 대체품들을 사용해야 한다.
  
그 중 텀블러는 환경보호의 대표주자로 떠오른다. 이는 재사용할 수 있으며, 재질에 따라 플라스틱 컵보다 보온·보냉에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일부 카페에서는 텀블러 사용 시 할인 혜택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일부의 사람들은 텀블러를 사용하면서 환경 보호에 동참한다.
  
동시에 여러 회사들은 한정 판매 전략으로 소비자의 수집 욕구를 자극한다. 친환경이라고 판매되는 텀블러가 수집의 대상이 된 것이다. 환경을 위한 행위가 오히려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는 현상인 ‘리바운드 효과’가 발생한다. 텀블러를 필요 이상 다량 구매하고, 이를 방치하면 자원이 낭비된 셈이다. KBS와 기후변화행동연구소가 시행한 텀블러, 일회용 컵을 만들고 폐기하는 전 과정에서 나오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비교한 연구 결과 텀블러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플라스틱 컵, 종이컵에 비해 각각 13배, 24배 정도 많았다. 
  
하지만 텀블러를 꾸준히 사용하면 결과는 역전된다. 텀블러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는 지날수록 커지기 때문에 이를 오래 사용한다면 일회용 플라스틱 컵보다 환경오염 개선에 도움이 된다. 
  
즉, 텀블러를 오래 사용해야 환경에 보탬이 된다. 
  
일회용 컵, 빨대, 비닐봉지 같은 지구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는 불필요한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우리의 행동을 변화시키고 익숙했던 일회용품들과 완전히 이별할 때다. 우리 자신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해, 그리고 다음 세대의 더 나은 미래를 남겨주기 위해, 지금부터 천천히 플라스틱 없는 생활을 시작해보자.
  
플라스틱컵 대신 개인 텀블러를 들고 오는 것이 자연스럽고 당연하게 여겨지는 날이 빨리 오기를 기대한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고민희

No 제목 이름 날짜
3181 요양시설 화재안전에 진심을 담자  ×1 오희숙 07-08
3180 제주도, 어르신 주거정책 확대추진  ×1 제주도청 유은숙 07-07
3179 생명의 문, 비상구 '안전을 위한 백신'  ×1 서귀포소방서 06-29
3178 서귀포YWCA, 2022년 서귀포평화아카데미 4강좌 개최   ×1 서귀포YWCA 06-28
3177 보행자 안전을 위한 건설사업장 보행안전도우미 배치 의무화  ×1 ×1 김성수 06-28
3176 공사장 화재예방의 첫걸음 '안전수칙 준수'  ×1 ×1 남원119센터 소방사 문동식 06-26
3175 스마트경로당을 아시나요?  ×1 제주도청 유은숙 06-25
3174 서귀포YWCA, 2022년 서귀포평화아카데미 4강좌 참가자모집  ×1 서귀포YWCA 06-23
3173 마늘·양파 의무자조금 납부, 생산농업인의 의무이자 권리  ×1 식품원예과 강형미 06-20
3172 서귀포YWCA 달리는 건강 쿠킹버스 활용한 식생활교육 [건강 in 식생활]6월 초…  ×1 서귀포YWCA 06-20
3171 시민들이 지키는 골든타임, ‘소방차 출동로 확보’  ×1 성산 센터 119 소방사 김정호 06-16
3170 자동차세 납부의 달 6월, 연납 신청  ×1 삼도2동 06-14
3169 2022 서귀포시 행복드림아카데미 사회공헌 및 전문역량과정 진행  ×1 서귀포YWCA 06-13
3168 서귀포YWCA, 창립30주년 기념 청소년대상 차세대리더지원사업 진행   ×1 서귀포YWCA 06-13
3167 일상 속 노인혐오 문화 경계하기, 노인 학대 예방의 첫걸음.  ×1 문지현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6-09
3166 ‘백신 없는 플라스틱 팬데믹’ 플라스틱 줄이기로 행동해야 한다.  ×1 원고운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6-06
3165 유기동물 줄이려면 성숙한 반려동물 문화 조성이 ‘열쇠’ 사설보호소에 …  ×1 홍은정 06-05
3164 무인화 결제 시스템의 명암  ×1 김태훈 06-03
3163 선거철이면 밤•낮 없이 울려대는 선거 전화 해결책은?  ×1 문지현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6-03
3162 제주사랑렌트카 김경란 대표, (사)제주YWCA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공간 환경… 추현우 06-03
3161 제주 바다에서 ‘남방큰돌고래’가 사라지면 어떻게 될까?   ×1 고하경(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6-03
3160 기후변화로부터 우리가 지켜야 할 자산 ‘해양생태계’  ×1 김현주 06-02
3159 제주 오랜 삶의 터전 오름, 몸살을 앓다  ×1 이민서 06-01
3158 2022년 서귀포평화아카데미 2강좌 개최 및 3강좌 모집  ×1 서귀포YWCA 05-30
3157 탄소중립을 위한 제주 자전거도로 확충해야  ×1 조예진 05-29